Publications

중국 아동복지의 현주소와 과제 = The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China's Child Welfar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쩌우보(邹波)
dc.date.accessioned2018-03-14T04:50:17Z
dc.date.available2018-03-14T04:50:17Z
dc.date.issued2017-09-30
dc.identifier.issn2586-084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9113
dc.identifier.urihttp://dx.doi.org/10.23063/2017.09.6
dc.description.abstract급속한 경제성장과 사회보장체계의 발전을 추진해 온 중국은 아동복지제도를 잔여적 복지 체계에서 보편적 복지 체계로 발전시키려고 노력하고있다. 최근 중국은 고아 보호 체계를 구축하고 미성년 노숙자 지원·보호 제도를 강화했다. 또한 농촌 지역 ‘방치 아동(left-behind children)’을 보호, 관리하는 틀을 확립하고 ‘불우 아동’보호 제도를 체계화했다. 이와 같은 제도 개혁을 통해 중국의 아동복지는 서비스의 범위와 보장성을 확대하는 커다란 발전을 이루었다. 본고에서는 현재 중국 아동복지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문제점과 한계를 검토함으로써 장차 중국 아동복지제도의 발전방향과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중국 아동복지의 현주소와 과제
dc.title.alternativeThe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China's Child Welfare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Zou bo
dc.identifier.doi10.23063/2017.09.6
dc.citation.title국제사회보장리뷰
dc.citation.title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dc.citation.volume2017
dc.citation.volume2
dc.citation.number가을
dc.citation.date2017-09-30
dc.citation.startPage69
dc.citation.endPage7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국제사회보장리뷰 2017년 가을 2호, pp.69-7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2017 No.가을 2, pp.69-78
dc.date.dateaccepted2018-03-14T04:50:17Z
dc.date.datesubmitted2018-03-14T04:50:17Z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