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최연혁 |
dc.date.accessioned | 2018-03-13T08:56:46Z |
dc.date.available | 2018-03-13T08:56:46Z |
dc.date.issued | 2017-06-30 |
dc.identifier.issn | 2586-0844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9057 |
dc.identifier.uri | http://dx.doi.org/10.23063/2017.06.6 |
dc.description.abstract | 이 글은 2014년 크리스티안 엥스트룀 해적당 출신 유럽의회 의원이 기본소득제 도입을 위한 논쟁을 이끌어 낸 후 스웨덴 주요 정당과 이익단체들의 대응에 초점을 맞춘다. 스웨덴의 각 정당과 이익단체들은 매우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왜 그럴까? 이 제도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복지제도의 전격적 해체와 세제 개혁, 사회서비스와 사회보험제도 등의 대대적 개혁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또 공공서비스 분야 종사자의 대량 해고라는 문제와도 맞닿아 있기 때문에 복지국가가 잘 갖추어져 있는 국가 중 하나인 스웨덴이 이를 선뜻 받아들여 시행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특히 의회 1당인 사민당과 전국노총(LO)이 반대 입장을 펼치는 상황에서 외생적 변화의 압력 없이는 쉽게 변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9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title | 기본소득제도와 스웨덴의 대응 |
dc.title.alternative | The Rise of Basic Income Issue in Sweden and its Response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identifier.doi | 10.23063/2017.06.6 |
dc.citation.title | 국제사회보장리뷰 |
dc.citation.title |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
dc.citation.volume | 2017 |
dc.citation.volume | 창간 |
dc.citation.number | 여름 |
dc.citation.date | 2017-06-30 |
dc.citation.startPage | 58 |
dc.citation.endPage | 66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국제사회보장리뷰 2017년 여름 창간호, pp.58-66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2017 No.여름 창간, pp.58-66 |
dc.date.dateaccepted | 2018-03-13T08:56:46Z |
dc.date.datesubmitted | 2018-03-13T08:56:46Z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