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차별금지법의 고용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합리적 편의제공 의무의 역할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mployment impact of disability anti-discrimination laws: Assessing the role of the reasonable accommodation duty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오욱찬 |
dc.date.accessioned | 2018-03-07T17:30:03Z |
dc.date.available | 2018-03-07T17:30:03Z |
dc.date.issued | 2016-09-30 |
dc.identifier.issn | 1598-7663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8991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OECD 국가를 대상으로 장애차별금지법의 고용효과를 실증적으로 평가하였으며, 특히 장애차별금지법의 합리적 편의제공 의무가 갖는 역할에 주목하였다. 분석에는 LIS(Luxembourg Income Study) 데이터베이스 웨이브 5~8(2000~2010년)의 OECD 24개국, 78개 데이터세트에서 977,727명이 포함되었으며 다수준모형(Multilevel Model)을 적용하였다. 합리적 편의제공 의무의 영향은 의무의 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네 가지 지표를 사용하여 해당 시기의 24개국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2000~2010년 사이에 장애차별금지법의 도입은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고용확률 격차를 3.5%p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긍정적 고용효과는 대체로 합리적 편의제공 의무의 강도가 높은 경우에만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차별금지법의 고용효과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며, 특히 합리적 편의제공 의무와 같은 내적 특성의 다양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dc.format.extent | 29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dc.title | 장애차별금지법의 고용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합리적 편의제공 의무의 역할을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mployment impact of disability anti-discrimination laws: Assessing the role of the reasonable accommodation duty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Academic) |
dc.subject.keyword | 장애차별금지법 |
dc.subject.keyword | 고용효과 |
dc.subject.keyword | 합리적 편의제공 의무 |
dc.subject.keyword | LIS |
dc.subject.keyword | 다수준모형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오욱찬 |
dc.identifier.doi | 10.15855/swp.2016.43.3.183 |
dc.identifier.url | https://doi.org/10.15855/swp.2016.43.3.183 |
dc.identifier.localId | KIHASA-784 |
dc.citation.title | 사회복지정책 |
dc.citation.volume | 43 |
dc.citation.number | 3 |
dc.citation.date | 2016 |
dc.citation.startPage | 183 |
dc.citation.endPage | 211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사회복지정책, vol. 43, no. 3, pp. 183 - 211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