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노인일자리사업 대상의 표적화와 그 특성에 관한 소고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조성은
dc.date.accessioned2018-02-27T06:45:49Z
dc.date.available2018-02-27T06:45:49Z
dc.date.issued2009-07-30
dc.identifier.issn2005-23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861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04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의 대상이 되는 노인들을 구체적으로 표적화(targetting)하고, 목표집단의 현황과 특성을 여타 노인집단과 비교·검토하여 대상집단의 욕구를 규범적 측면에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대상 노인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경제적 활동에 대한 개인적 의지를 주로 반영하였으며, 현재 미취업이면서 향후 일할 의사가 있는 노인 중 미취업사유가 '일자리가 없어서'인 노인을 노인일자리사업의 핵심대상집단으로, 그 외의 사유인 노인을 2차 대상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핵심대상집단과 2차대상집단의 일 욕구는 생활비를 벌 수 있는 종일제 형태 희망노인과 사회참여형 형태 희망 노인으로 구분되었다. 대상집단의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 핵심집단은 비교집단(취업집단, 기타집단, 전체노인)과 비교하여 높은 교육수준과 정보화 수준, 양호한 건강상태를 보여, 향후 이들의 인적자본 및 욕구에 적합한 노인일자리가 요구된다. 또한 핵심집단은 경제적 형편에 대한 인식은 비교집단에 비해 부정적이었으나 경제적 만족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노인일자리사업이 대상집단의 경제적 만족감 외의 다른 만족감의 요소들도 세밀히 관찰하여 소득보장에 치우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넓은 차원의 노인복지와 욕구충족을 위한 방향으로 균형을 잡아야 할 것이다.
dc.format.extent28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노인인력개발원
dc.title노인일자리사업 대상의 표적화와 그 특성에 관한 소고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Academic)
dc.subject.keyword노인일자리사업 대상집단
dc.subject.keyword표적화
dc.subject.keyword인적자본 특성
dc.subject.keyword경제적 상태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조성은
dc.identifier.urlhttps://kordi.or.kr/m/content.do?bid=248&mode=view&page=4&cid=128&sf_category=N107_3&cmsId=176
dc.identifier.localIdKIHASA-380
dc.citation.title노인인력개발포럼
dc.citation.number2
dc.citation.date2009
dc.citation.startPage39
dc.citation.endPage6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노인인력개발포럼, no. 2, pp. 39 - 66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