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Body Image Distortion on Depression in Youth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맹성준
dc.contributor.author한창근
dc.date.accessioned2018-01-13T02:39:07Z
dc.date.available2018-01-13T02:39:07Z
dc.date.issued2017-12-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847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신체이미지왜곡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제12차(2016년)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청소년 총 48,5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은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이미지 왜곡을 하는 청소년일수록 우울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스트레스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은 직접적으로 우울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부분적으로 신체이미지 왜곡은 스트레스를 높게 하여 이러한 스트레스는 다시 청소년 우울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 스트레스, 그리고 우울간의 관계를 샘플사이즈가 큰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를 이용하여 그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결론에서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으로 청소년이 올바른 신체이미지 확립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body image distortion influences depression in youths and whether the influence is mediated by stress. Data come from the 12th (2016)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sample consists of 48,511 youths in the 7th to 9th grades. Key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stortion of body image was found to have positive impacts on depression in youths. Second, stress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distortion and depression. While body image distortion has direct impacts on depression of youth, the stress has partial mediation effects on depression. Th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is based on the large sample size of youth. This study conclude with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on youth’s body image distortion, stress, and depression.
dc.formattext/plain
dc.format.extent3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The Impact of Body Image Distortion on Depression in Youth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신체이미지 왜곡
dc.subject.keyword스트레스
dc.subject.keyword우울
dc.subject.keyword매개효과
dc.subject.keyword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dc.subject.keywordBody Image Distortion
dc.subject.keywordStress
dc.subject.keywordDepression
dc.subject.keywordMediating Effect
dc.subject.keywordKYRBS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7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238
dc.citation.endPage26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4호, pp.238-26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7 No.4, pp.238-268
dc.date.dateaccepted2018-01-13T02:39:07Z
dc.date.datesubmitted2018-01-13T02:39:07Z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