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서비스 일자리 창출 정책: 쟁점과 과제 = Job Creation in the Social Service Sector: Policy Issues and Task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유태균
dc.date.accessioned2017-12-22T11:09:44Z
dc.date.available2017-12-22T11:09:44Z
dc.date.issued2017-09-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8360
dc.identifier.urihttp://dx.doi.org/10.23062/2017.09.4
dc.description.abstract2005년부터 정부가 추진해 온 사회서비스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정책의 주안점은 범주형 공공부조 방식의 사회서비스를 통해 취약계층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맞춰져 왔다. 정부는 한편으로는 사회서비스 일자리를 늘리기 위한 노력을, 다른 한편으로는 예산 증가 억제를 위한 서비스 가격 규제 정책을 펼쳐왔다. 그 결과 일자리의 질, 사회서비스 산업과 시장의 활성화는 기대보다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 글은 사회서비스 산업 활성화가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질 향상을 위한 가장 근본적인 방안이라는 입장에서 사회서비스 산업 활성화와 전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서비스보험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아울러 이러한 입장에서 새 정부가 계획 중인 사회서비스공단 설립을 통한 공공 부문 일자리 창출 전략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dc.format.extent18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사회서비스 일자리 창출 정책: 쟁점과 과제
dc.title.alternativeJob Creation in the Social Service Sector: Policy Issues and Task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identifier.doi10.23062/2017.09.4
dc.identifier.localIdKIHASA-193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17
dc.citation.volume251
dc.citation.number9
dc.citation.startPage40
dc.citation.endPage5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17년 9월 통권 제251호, pp.40-5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7.9 No.251, pp.40-57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