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유치원장의 건강과 일: 유치원장의 갱년기 증상이 유치원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Health and Work of the Principals of Kindergarten: Impact of Menopausal Symptoms on Kindergarten Management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윤희수
dc.contributor.author문성제
dc.contributor.author최만규
dc.date.accessioned2017-12-22T11:09:11Z
dc.date.available2017-12-22T11:09:11Z
dc.date.issued2017-09-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830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년 유치원장의 갱년기 증상이 유치원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유치원장의 건강과 일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제분석방법(thematic analysis)을 통해 갱년기 증상, 건강이 일에 미치는 영향, 건강에 대한 요구도(needs)라는 세 가지 주제를 범주화하였다. 먼저 갱년기 증상의 경우 유치원장이 경험하는 신체적, 심리적 증상과 갱년기 증상을 지각하지 못하는 상반된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건강이 일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갱년기 증상의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유치원 운영에 미치는 영향과 사적 생활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갱년기 증상의 영향은 오랜 시간 축적된 경험, 참여자들의 갱년기 극복을 위한 노력과 의지, 구성원들과의 지지 형성 그리고 유치원장 역할 수행의 보람으로 인해 상쇄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갱년기 증상의 극복을 위한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의 건강에 관한 요구도를 파악함에 있어 심리적 압박감과 건강이 우선순위가 되지 못함이라는 하위 주제가 발견되었다. 총 책임자라는 부담감으로 인해 심리적 압박감을 느꼈고 해야 할 일이 많아 건강보다 일이 우선순위가 되어 건강을 돌보지 못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유치원장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증진을 위한 방안을 통해 유아교육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갱년기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방향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what effect kindergarten principals’ menopausal symptoms has on their managerial work. We interviewed a total of 10 kindergarten principals aged 40-60 and analyzed the interview data based on the process of the thematic analysis. Regarding the menopausal symptoms, some of the participants perceived physical or emotional symptoms, while the others did not perceived them. As to the effect of health on work, the menopausal symptoms affected their private life as well as the kindergarten management. However, the participants tended to overcome the effect of menopausal symptoms with experience, will, effort, sense of reward from their work, and support from their coworkers.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have needs on health. They have not only physical symptoms including fatigue but also emotional pressure due to the role as a head of kindergarten. Moreover, health was not the priority and a subordinate to work.
dc.format.extent26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유치원장의 건강과 일: 유치원장의 갱년기 증상이 유치원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Health and Work of the Principals of Kindergarten: Impact of Menopausal Symptoms on Kindergarten Management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유치원장
dc.subject.keyword갱년기
dc.subject.keyword건강
dc.subject.keyword
dc.subject.keyword주제분석방법
dc.subject.keywordPrincipal of Kindergarten
dc.subject.keywordMenopausal Symptoms
dc.subject.keywordHealth
dc.subject.keywordWork
dc.subject.keywordThematic Analysis
dc.identifier.localIdKIHASA-142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7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433
dc.citation.endPage45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3호, pp.433-45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7 No.3, pp.433-458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3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