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 의료비 지출, 건강성과의 발달궤적 및 연령차에 관한 연구 = Age Difference in the Trajectory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 Medical Expenses and Health Outcome among the Elderly: A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Title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 의료비 지출, 건강성과의 발달궤적 및 연령차에 관한 연구 = Age Difference in the Trajectory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 Medical Expenses and Health Outcome among the Elderly: A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Author(s)

이현숙 ; 염영희

Keyword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 ; 의료비 지출 ; 및 건강성과의 발달궤적 ; 한국의료패널 ; 연령차 ; 잠재성장모형 ; 다중집단분석 ; Trajectories of Medical Service Use ; Medical Expense and Health Outcome in the Elderly ; Korea Health Panel ; Age Differences ; Latent Growth Model ; Multi-Group Analysis
Publication Year
2017-06-30
Publisher
한국보건사회연구원
Citation
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2호, pp.287-324
Abstract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의료 서비스 이용, 의료비 지출 및 건강성과의 발달궤적, 발달궤적의 상호관계 그리고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에 대한 연령차를 확인하기 위하여 Andersen의 행동모형에 근거하여 한국의료패널의 2009년부터 2013년 까지 5년 연속으로 설문조사에 참여한 2,26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을 이용하여 각 변인의 변화와 관련성을 추정하고, 다중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통하여 초기노인(young-old)과 후기노인(old-old)집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노인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입원서비스 이용과 의료비 지출은 선형으로 증가하고 주관적 건강상태 또한 선형으로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개인 간 격차는 줄어 평준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입원서비스 이용, 의료비 지출 및 주관적 건강상태의 발달궤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만성질환, 장애유무, 그리고 통증이나 불편감과 같은 필요요인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차이를 살펴보면, 초기노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입원서비스 이용과 의료비 지출, 주관적 건강상태에 있어 개인 간의 차이가 점차 줄어들어 평준화 경향이 발견되었으나, 후기노인은 입원서비스 이용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개인 간 차이가 점차 확대되었다.
ISSN
1226-072X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share

qrcode
share
Cited 4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