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 Leisure Activity Type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Middle-Aged People Living Alon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강은나
dc.contributor.author김혜진
dc.contributor.author김영선
dc.date.accessioned2017-12-22T11:08:44Z
dc.date.available2017-12-22T11:08:44Z
dc.date.issued2017-06-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828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혼자 생활하고 있는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이 가진 여가유형이 1인가구 중고령자의 우울수준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 50세에서 만 69세까지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여가활동 현황을 조사한 자료 중 1인가구 중고령자 168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여가활동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여가활동 내용, 여가 동반자 여부, 여가의 일상성 여부를 기준으로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하였다.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유형은 일상적 홀로 운동형(26.8%), 관계적 운동・오락형(28.0%), 일상적 취미활동형(23.3%), 여가소홀형(21.4%)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인 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이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가소홀형에 비해 일상적 취미활동형의 우울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그 밖에 여성에 비해 남성이, 미혼자에 비해 이혼・별거 또는 사별을 경험한 중고령자의 우울수준이 높았다.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자녀 또는 자녀배우자와의 만남빈도가 많을수록 우울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1인 중고령자의 건강한 여가활동 영위와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leisure activity types in which middle-aged people living alone engag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ypes and depressive symptoms. Latent class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168 people age 50-69 living alone. We identified four types of leisure activities the subjects engaged in: individual-oriented routine physical exercise (26.8%), socially-oriented/recreational activities (28.0%), hobby-oriented activities (23.3%), and leisure-neglect (21.4%). Hobby-oriented activities were associated with the lowest depressive symptoms. Also, men were more depressed than women, and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was higher among those who experienced divorce or bereavement than among unmarried people. The high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meeting with children, the lower the depression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healthy leisure activities and for reducing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middle-aged people living alone.
dc.format.extent3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dc.title.alternativeLeisure Activity Type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Middle-Aged People Living Alone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1인가구
dc.subject.keyword중고령자
dc.subject.keyword여가활동유형
dc.subject.keyword우울수준
dc.subject.keyword잠재집단분석
dc.subject.keywordSingle Household
dc.subject.keywordMiddle Aged People
dc.subject.keywordLeisure Activity Types
dc.subject.keywordDepressive Level
dc.subject.keywordLCA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강은나
dc.identifier.localIdKIHASA-114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7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184
dc.citation.endPage21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2호, pp.184-21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7 No.2, pp.184-215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3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