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양육자가 인지한 지역사회 및 주거환경 특성과 유형별 아동학대의 관계 = Child Maltreatment and Perceived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Housing Quality by Caregiver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강지영
dc.date.accessioned2017-12-22T11:08:39Z
dc.date.available2017-12-22T11:08:39Z
dc.date.issued2017-06-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827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지역사회 특성과 물리적 주거환경의 질이 신체학대, 정서학대 및 방임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내 무질서와 집합적 효능감(비공식적 통제, 응집력)의 영향을 분석하였고, 문화체육시설, 사회복지 관련시설, 자연환경 및 대중교통의 접근성과 물리적 주거환경의 질이 유형별 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다양한 행위자 및 가족 특성을 통제변수로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2013년 아동종합실태조사에 참여한 어머니 3,091명이다. 기술적 통계 및 이원분석을 통해 표본의 특성과 유형별 학대 발생여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지역사회 및 주거환경 특성이 유형별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첫째, 신체학대는 물리적 주거환경의 질이 좋을수록 발생가능성이 감소하였다. 둘째, 정서학대는 지역사회 내 비공식적 통제가 높을수록, 그리고 사회복지관련 이용시설의 접근성이 좋을 때 발생가능성이 감소하였다. 반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을 때는 발생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셋째, 방임은 지역사회 무질서가 감소할 때 그리고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을 때 감소하였다. 하지만, 비공식적 통제가 증가할 때는 발생가능성이 증가하였다. 통제변수 가운데 모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는 모든 학대유형의 발생가능성을 증가시켰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거환경개선사업 및 지역사회조직화 사업을 통해 학대 및 방임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 maltreatment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housing quality percieved by caregivers. Community characteristics included social disorder, informal control and social cohesion, in addition to proximity to facilities (e.g. parks, gyms, etc.), institutions (social work agenc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Also, various caregiver and family characteristics were included in the model as control variables. The sample included 3,091 mothers who participated in 2013 National Survey on Children’s Life. Descriptive analysis, bivariate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1) physical abuse was associated with housing quality; 2) that emotional abuse was less likely with high informal control and proximity to social work agencies, but more likely with proximity to public transportation; 3) that neglect was less likely with low social disorder and proximity to public transportation, but more likely with high informal control.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were associated with all three types of child maltreatment. It was discussed how to prevent child maltreatment using community organization and housing improvement programs.
dc.format.extent3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양육자가 인지한 지역사회 및 주거환경 특성과 유형별 아동학대의 관계
dc.title.alternativeChild Maltreatment and Perceived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Housing Quality by Caregiver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지역사회 과정적 특성
dc.subject.keyword지역사회 자원
dc.subject.keyword주거환경
dc.subject.keyword아동학대 및 방임
dc.subject.keywordCommunity Process
dc.subject.keywordCommunity Resources
dc.subject.keywordHousing Quality
dc.subject.keywordChild Maltreatment
dc.identifier.localIdKIHASA-109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7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41
dc.citation.endPage7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2호, pp.41-7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7 No.2, pp.41-71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