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금연클리닉 이용자의 지역별 금연 성공요인 = The Factors Influencing on Success of Quitting Smoking in Rural and Urban Smoking Cessation Clinics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이주열 |
dc.contributor.author | 송태민 |
dc.date.accessioned | 2017-01-25T04:12:44Z |
dc.date.available | 2017-01-25T04:12:44Z |
dc.date.issued | 2009-01-01 |
dc.identifier.issn | 1738-9577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5254 |
dc.description.abstract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an efficient operation plan for a smoking cessation clinic in public health centers. To do so, the primary success factors in smoking cessation have been analyzed after classifying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s of public health centers into urban and rural areas. Methods: A study was conducted with 262,837 smokers age 19 or older who were provided with smoking cessation services for more than 6 months through smoking cessation clinics at public health centers(250 clinics nationwide) from July 16, 2006 to July 15, 2007. Results: Urban areas indicated that gender, age, social security, the frequency of counseling, re-enrollment in the program, the number of cigarettes per day and alcohol problems were all factors that influenced the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rural areas the total number of counseling, re-enrollment in the program, the number of cigarettes per day and alcohol problems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Furthermore, the urban area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of counseling, re-enrollment in the program, the number of cigarettes per day and alcohol problems affected traveling while the rural area was affected by social security, the frequency of counseling and re-enrollment. Conclusion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uccess rate and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clinics can vary depending on the region and enrollment method. 이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전국 보건소의 금연 클리닉을 도시와 농촌지역으로 구분하여 이용자의 금연성공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별 특성뿐만 아니라 흡연자의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 방법에 따라 금연성공 요인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2006년 7월 16일부터 2007년 7월 15일까지 전국 250개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만 19세 이상 흡연자 262,837명이다. 전국 보건소의 금연클리닉을 군 단위는 농촌으로 구분하고 그 외의 지역은 도시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6개월 성공률은 지역별로는 도시 46.1%, 농촌 45.4%였으며, 등록 방법별로는 도시의 내소 46.0%, 도시의 이동 46.7%, 농촌의 내소 44.7%, 농촌의 이동 47.5%였다. 둘째, 금연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도시는 성별, 연령, 의료보장, 총 상담회수, 재등록 회수, 하루 평균 흡연량, 음주문제 등이었고, 농촌은 총 상담회수, 재등록 회수, 하루 평균 흡연량, 음주문제 등이었다. 서비스 내용은 도시는 행동요법, 약물요법, 행동+약물이 금연 성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농촌은 행동요법과 약물요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촌과 도시에서 공통적으로 금연 성공률이 높은 대상은 남자, 50세 이상, 총 상담회수가 많은 대상자, 재등록 회수가 적은 대상자, 하루 평균 흡연량이 적은 대상자, 흡연기간이 긴 대상자, 음주문제가 없는 대상자 등이었다. 넷째, 지역별 및 등록 방법별 금연성공 요인은 내소의 경우 도시는 의료보장, 총 상담회수, 재등록 회수, 하루 평균 흡연량, 흡연기간, 음주문제 등이었으며, 농촌은 총 상담회수, 재등록 회수, 하루 평균 흡연량, 음주문제 등이었다. 이동의 경우 도시는 총 상담회수, 재등록 회수, 하루 평균 흡연량, 음주문제 등이었으며, 농촌은 의료보장, 총 상담회수, 재등록 회수 등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지역 및 등록 방법에 따라 금연클리닉의 성공률과 성공요인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건소 금연클리닉은 농촌과 도시 지역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운영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등록 방법에 따라 금연 지원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그 동안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상담과정이 단일 모형으로 진행되었다면, 향후는 지역 및 등록 방법을 고려한 다양한 운영 방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dc.format.extent | 11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
dc.title | 보건소 금연클리닉 이용자의 지역별 금연 성공요인 |
dc.title.alternative | The Factors Influencing on Success of Quitting Smoking in Rural and Urban Smoking Cessation Clinics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Academic) |
dc.identifier.apprname | 학술논문평가 |
dc.subject.keyword | Smoking cessation |
dc.subject.keyword | Rural area |
dc.subject.keyword | Urban area |
dc.subject.keyword | Public health center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송태민 |
dc.identifier.url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99789 |
dc.citation.title | 농촌의학지역보건 |
dc.citation.volume | 33 |
dc.citation.number | 3 |
dc.citation.startPage | 292 |
dc.citation.endPage | 302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농촌의학지역보건, vol. 33, no. 3, pp. 292 - 302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