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노동기대여명 지표를 활용한 중고령층의 건강과 근로활동 분석 = Healthy Working Life Expectancies of Mid-Aged and Older Koreans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우해봉 |
dc.date.accessioned | 2017-01-25T04:09:00Z |
dc.date.available | 2017-01-25T04:09:00Z |
dc.date.issued | 2014-12-31 |
dc.identifier.issn | 1598-7663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4983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건강노동기대여명 지표를 산출함으로써 우리나라 중고령층의 생애가 건강과 근로활동 측면에서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첫째, 45세 기준으로 건강한 상태에서 근로활동을 하는 건강-취업 기대여명은 남성이 16.49년, 여성이 9.27년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45세 기준 남성과 여성 총기대여명의 48.62%와 22.22%에 해당한다. 분석 결과는 또한 우리나라 중고령층, 특히 여성의 경우 불건강-비취업 기대여명과 건강-비취업 기대여명이 상당히 높게 나타남으로써 현재의 연령별 건강 및 근로활동 패턴이 지속될 경우 잔존 생존기간의 상당 부분을 노동시장 밖에서 체류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건강과 근로활동 패턴에 있어서 성병과 함께 사회경제적 지위를 대표하는 변수라고 할 수 있는 교육수준별 분화 또한 상당한 수준임을 보여 주고 있다. 특히, 건강과 근로활동에서 관측되는 교육수준별 변이는 건강-비취업 기대여명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관측됨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남녀 모두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함에도 불구하고 전체 잔존 생존기간 동안 그로활동을 하지 않는 기간이 긴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분석 결과는 남성과 여성 모두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건강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근로활동을 하는 기간이 긴 것으로 추정됨으로써 사회경제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위치한 중고령층이 생계유지 차원에서 근로활동을 하는 패턴이 존재함을 시사하고 있다. |
dc.format.extent | 23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dc.title | 건강노동기대여명 지표를 활용한 중고령층의 건강과 근로활동 분석 |
dc.title.alternative | Healthy Working Life Expectancies of Mid-Aged and Older Koreans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Academic) |
dc.identifier.apprname | 학술논문평가 |
dc.subject.keyword | 기대여명 |
dc.subject.keyword | 건강 |
dc.subject.keyword | 근로활동 |
dc.subject.keyword | 건강노동기대여명 |
dc.subject.keyword | life expectancy |
dc.subject.keyword | health |
dc.subject.keyword | work |
dc.subject.keyword | healthy working life expectancy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우해봉 |
dc.identifier.doi | 10.15855/swp.2014.41.4.77 |
dc.identifier.url | https://doi.org/10.15855/swp.2014.41.4.77 |
dc.citation.title | 사회복지정책 |
dc.citation.volume | 41 |
dc.citation.number | 4 |
dc.citation.startPage | 77 |
dc.citation.endPage | 99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사회복지정책, vol. 41, no. 4, pp. 77 - 99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