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폭염으로 인한 초과사망 위험 감소에 대한 통계적 인간생명가치 측정 = Economic valuation of statistical life in life loss of heat wave attributed to the climate change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이수형 |
dc.contributor.author | 신호성 |
dc.contributor.author | 김대은 |
dc.date.accessioned | 2017-01-25T04:08:02Z |
dc.date.available | 2017-01-25T04:08:02Z |
dc.date.issued | 2016-06-30 |
dc.identifier.issn | 1738-7302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4915 |
dc.description.abstract | 기후변화 폭염발생으로 인한 초과사망 위험 감소에 대한 통계적 인간생명가치 산출을 목적으로 서울시 30세이상 75세미만 성인 801명을 대상으로 이중경계 양분선택형 질문법을 이용하여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하고 이를 근거로 통계적 인간생명가치를 산출하였다. 추정방법은 지불의사가 전혀없는 경우 0원으로 가정하는 이중경계양분선택형 스파이크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기후변화 폭염으로 인한 초과사망 위험 감소를 위한 지불의사금액은 개인 1인당월 평균 18,210원, 소득을 보정할 경우 월 평균 18,488원으로 산출되었다. 지불의사금액은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의 심각성에 따라, 동시에 잠재적인 위협보다는 실제적인 위협으로 인식할수록 지불의사 금액이 높았다. 이런 경향은 기후변화 폭염 취약계층 유무에 상관없이 일정한 경향을 보였다. 이를 근거로 통계적 인간생명가치를 구할 경우 3억 6,976만원(95% 신뢰구간 3억 2,5100만원, 4억 1,440만원), 65세이상 폭염취약군의 경우 2억 702만원, 65세미만 비폭염취약군의 경우 4억 2,266만원으로 계산되었다. 이는 현재의 기후변화 취약계층에 초점이 맞춰진 폭염적응정책 이외에도 일반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인지하고 이행할 수 있는 적응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dc.format.extent | 28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
dc.title | 기후변화 폭염으로 인한 초과사망 위험 감소에 대한 통계적 인간생명가치 측정 |
dc.title.alternative | Economic valuation of statistical life in life loss of heat wave attributed to the climate change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Academic) |
dc.identifier.apprname | 학술논문평가 |
dc.subject.keyword | 기후변화 |
dc.subject.keyword | 폭염 |
dc.subject.keyword | 지불의사금액 |
dc.subject.keyword | 조건부가치측정법 |
dc.subject.keyword | 통계적 인간생명가치 |
dc.subject.keyword | Climate change |
dc.subject.keyword | heat wave |
dc.subject.keyword | willingness to pay |
dc.subject.keyword |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dc.subject.keyword | valuation of statistical life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이수형 |
dc.identifier.url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20558 |
dc.citation.title |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
dc.citation.volume | 22 |
dc.citation.number | 2 |
dc.citation.startPage | 51 |
dc.citation.endPage | 78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 22, no. 2, pp. 51 - 78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