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인구영향평가 제도 도입을 위한 기반 구축 연구

제목
인구영향평가 제도 도입을 위한 기반 구축 연구
저자

원종욱 ; 김종훈 ; 홍석표 ; 장인수 ; 안형석 ; 홍세희 ; 이철의 ; 오상훈

키워드
인구영향평가 제도 ; 정책영향평가
발행연도
2016
발행기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우리나라의 저출산현상을 정책공급자 입장이 아닌 정책수혜자 입장에서 법령·제도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
· 지금까지의 결혼 및 저출산 관련 정책은 정책공급자 입장에서 이해당사자인 국민들의 선택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단정한 상태에서 추진되어 왔음
· 법령·제도가 이해당사자인 국민들의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사전적으로 이해당사자의 삶(효용)의 선호체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
· 하나의 정책 또는 법령·제도가 개별적으로 선호 또는 선택에 변화를 유발하기 보다는 결혼과 출산이 국민들의 삶(효용)에 어떤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음

Currently, Korea's various low birthrate policies that have been promoted
for the past 10 years in a situation of low fertility is being questioned
about the effectiveness.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quantitative model that will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major policies
implemented up to now and the major policies to be implemented. The
population impact assessment requires a complex process that links the
rational choice of individuals and households with diverse and heterogeneous
policies, unlike other area impact assessments (employment impact
assessm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Describe the process by
which 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identify the contribution of each factor. Also, it has a long-term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asic framework of policy
evaluation that can carry out the population impact assessment rather than
drawing directly on the low birth response policies. It is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to derive an econometric model to analyze and analyze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the marriage age and the marriage and birth of married
couples.
This study have investigated the preliminary studies on discrimination
and fertility and the on - going employment impact assessment to examine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existing impact assessment system.
Also, to identify major pathways and variables that could affect marriage
and birth, using the Event history model, applying Korean Labor Panel data
from 1999 ~ 2014. This study focused on building basic models and identifying
major policy areas (governmental policies) that affect marriage and
childbirth. In addition, we estimated the marriage age and the number of
childbirths by changing the numerical value of a certain policy variable through the marginal effect analysis with the random utility model.
We present the quantitative basis for establishing the limits and policy
areas that can be intervened by the governmen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nalyze quantitative and policy aspects of sophisticated models.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의 방향 4

제2장 저출산 관련 주요 정책 검토 5
제1절 제1~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개요 7
제2절 주요 정책 세부 내용 8

제3장 선행 연구 및 기존 영향평가 체계 고찰 29
제1절 차별출산력 관련 선행 연구 고찰 31
제2절 고용영향평가 개관 51

제4장 인구영향평가 기반 구축을 위한 기본 모형 85
제1절 모형의 구성(이론적 배경) 87
제2절 모형 투입을 위한 변수 설정 88
제3절 결혼 모형 103
제4절 출산 모형 107

제5장 분석 결과 111
제1절 결혼 모형 113
제2절 출산 모형 128

제6장 정책 모의실험 135
제1절 정책 모의실험 구성 137
제2절 분석 결과 137
제3절 시사점 및 향후 과제 139

제7장 결론 및 후속 연구 방향 141
제1절 결론 143
제2절 후속 연구 방향 143

참고문헌 151

부 록 157
부록 1. 결혼 모형 추가 분석 내용 157
부록 2. 출산 모형 분석(single event model analysis) 172
부록 3. 결혼 모형 분석을 위한 노동패널 데이터 변수 설명 178
부록 4. 출산 모형 분석을 위한 노동패널 데이터 변수 설명 180
보고서 번호
정책보고서 2016-47
Fulltext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NONB1201712248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