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 환자조사는 1953년부터 2014년까지 24회에 걸쳐 진행되어 온 바, 이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시계열적으로 일관성 있는 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 증거에 입각한 보건의료정책의 실현과 균형 있는 정책의 마련을 위해서는 건강보험 이외의 영역(산재보험, 민영보험, 자동차보험, 가계직접부담)에서의 통계 인프라를 제대로 갖출 필요가 있음 · 행정자료로부터 얻을 수 없는 정보를 조사를 통해 확인하고, 이를 행정자료와 연계함으로써 부가적인 가치를 창출해 내도록 해야 함 ·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민의 의료이용 목적과 의료이용 실태, 의료자원의 현황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실시함, 둘째, 조사 결과가 국제통계를 산출함에 있어서 가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 셋째, 국가 보건의료정책 추진의 기초 자료를 생성함
Table Of Contents
제1장 조사개요 1 제1절 조사목적 및 연혁 3 제2절 조사대상 및 방법 4 제3절 주요 조사내용 8 제4절 표본 설계 11
제2장 주요결과 17 제1절 환자 수 및 의료자원 현황 19 제2절 외래환자 현황 22 제3절 퇴원환자 현황 29
제3장 통계표 35 제1절 환자 수 및 의료자원 37 제2절 외래환자 55 제3절 퇴원환자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