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보건의료정책 평가 모형 연구(I) - 현황 분석과 우선순위 설정 =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health policy (Ⅰ):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priority setting of evaluation a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남순
dc.contributor.author오윤섭
dc.contributor.author박실비아
dc.contributor.author박은자
dc.contributor.author정 연
dc.contributor.author김대은
dc.contributor.author최지희
dc.date.accessioned2017-04-13T08:50:25Z
dc.date.available2017-04-13T08:50:2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isbn978-89-6827-401-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1057
dc.description.abstract빠른 속도로 변화해 가는 보건의료 및 정치적 환경을 고려할 때 합리적 정책 수행이 갖는 의미는 더욱 커지고 있다. 장기적, 종합적 관점에서 국민건강에 중요한 정책 선정과 그 영향을 제대로 평가해야 한다는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향후 보건정책 평가 발전방향을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와 사업이 지속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작업은 미래지향적 보건정책 평가에 대한 정책과 제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보건의료정책 평가모형 개발을 위한 첫 단계의 연구로서 정책 평가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국내외 보건의료정책 평가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후 보건의료정책 유형(typology)을 분류하였고 평가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또한 보건의료정책 평가(연구)의 방향성을 설정하고자 전문가 인식 조사를 수행하여, 정책 평가의 우선순위와 목적, 바람직한 평가주체, 기존 평가의 문제점 및 향후 방향성 등을 파악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olicy evaluation is an important tool that enhances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policies. It also contributes to the accountability of policy makers. However, systematic policy evaluation on health policy has been limited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for health policy. Firstly, we investigated the evaluation theory for health policy and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policy evaluation in Korea,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we presented the typology of health policy, which consists of five policy areas: health care, public health, health insurance, health promotion, and health industry. Based on this typology of health policy,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in which areas and at which level the evaluation of health policy was mainly conducted in Korea. Lastly, a survey of expert opinion on priority of health policy evaluation was conducted.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valuation on health policy needs to be more systematic, inclusive, and objective, which requires the solid evaluation model and infrastructure based on elaborated theory and methodology for health polic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1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3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15 제2장 정책 평가란 무엇인가? 17 제1절 정책과 정책 평가 19 제2절 정책 평가의 유형과 방법 24 제3장 국내외 보건정책 평가 현황 분석 39 제1절 캐나다 보건정책 평가 현황 41 제2절 미국의 보건정책 평가 현황 73 제3절 국내 보건정책 평가 현황(국가기관 평가 중심) 99 제4장 국내 보건의료정책 평가 현황과 방향 설정 143 제1절 보건의료정책 영역 분류 145 제2절 국내 보건의료정책 평가 연구 현황 152 제3절 보건의료정책 평가 방향 설정에 관한 전문가 인식 172 제4절 소결 189 제5장 결론 및 제언 193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195 제2절 결론과 제언 200 참고문헌 203 부 록 209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보건의료정책 평가 모형 연구(I) - 현황 분석과 우선순위 설정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health policy (Ⅰ):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priority setting of evaluation area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보건정책 평가
dc.subject.keyword자체 평가
dc.subject.keyword평가시스템
dc.subject.keyword정책 영역
dc.subject.keyword우선순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남순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실비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은자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오윤섭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최지희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대은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6-40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6-40
dc.subject.kihasa보건의료 서비스
dc.subject.kihasa보건의료 안전망
dc.subject.kihasa보건의료 자원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보건의료 서비스
보건의료 > 보건의료 안전망
보건의료 > 보건의료 자원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