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보장부문의 서비스 전달체계 연구 -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통합성 분석을 중심으로 = Social Security Service Delivery System: An Integrated Approach to Customized Servic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강혜규
dc.contributor.author박세경
dc.contributor.author함영진
dc.contributor.author이정은
dc.contributor.author김태은
dc.contributor.author최지선
dc.contributor.author김보영
dc.contributor.authorJohn Hudson
dc.contributor.authorAniela Wenham
dc.date.accessioned2017-04-13T08:31:20Z
dc.date.available2017-04-13T08:31:2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isbn978-89-6827-398-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1054
dc.description.abstract‘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복지전달체계 구현’이 핵심 국정과제로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용자의 욕구를 중심으로 전달체계를 점검하고 전달체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서비스 대응과정에서의 통합성을 진단하여, 진일보한 전달체계의 개선안 설계를 위한 방향 설정 및 세부적인 서비스의 통합성 제고방안 마련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abstractAs the government and policymakers have identified user-oriented customized welfare delivery as one of the core national agenda, 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urrent delivery system, which we examined in this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client needs. We also discussed how the welfare services can be delivered in a more integrated way to better meet client needs. The methods and results of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we identified welfare needs and the patterns of service provision by using data from the social security information system. Next, we examined case management in the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identified the needs for social services. Second, we examined the current welfare delivery system in terms of its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structure of various social protection programs that are delivered by 21 government bodies and looked at the organizational and personnel structures of welfare service divisions at local governments. Third, a face-to-face survey was conducted of community welfare service workers and Hope Welfare Support Team members, regarding their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awareness, the way they work in cooperation with their counterparts in other organizations, and their ideas of how the delivery system should improve. Fourth, we sought strategies for integrating services that are delivered for children, youth and families. Last, we suggested five plans in order to improve integration of the social security service delivery system. These five ways of strategies are: i) hub-deliberated service frontline and one-stop service strategy; ii) preparation of smart service-administrative related system; iii) setting of public case management system and invigoration of public-private cooperation; iv) reorganization of local governments’ welfare division: city, county, and district headquarters’ control tower functioning reinforcement and; v) manpower operation to increase integration of service providing: guarantee of specialization and persist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5 제3절 주요 연구문제 및 분석틀 23 제2장 주요 개념 및 선행 연구·정책 검토 29 제1절 전달체계 분석을 위한 주요 개념 고찰 31 제2절 전달체계 관련 선행 연구 및 정책 추진 동향 48 제3장 복지 욕구 및 지원의 패턴 분석 63 제1절 사회보장사업 수급 현황 및 패턴 분석 65 제2절 통합사례관리 및 복지자원 제공의 패턴 분석 107 제4장 전달체계의 현황 및 조직·여건 분석 141 제1절 사회보장사업과 관련 전달체계 현황 143 제2절 지자체 복지행정 조직의 분석 151 제3절 정보시스템 기반 분석 191 제5장 지자체 복지행정의 서비스 직무 실태 분석 205 제1절 지자체 복지 직무 수행 현황 207 제2절 지자체 복지행정 업무환경 250 제3절 소결 289 제6장 해외 사례: 통합적 전달체계 모색 동향 299 제1절 통합적 사회서비스 전달 유형과 외국 수범 사례 301 제2절 영국의 공공 복지전달체계 통합 경험: 심층 분석 327 제7장 서비스 통합 전략의 모색: 아동·청소년·가족서비스 영역을 중심으로 385 제1절 서비스 통합 전략의 유형화 387 제2절 아동·청소년·가족서비스의 통합 가능성 탐색 400 제3절 아동·청소년·가족서비스의 통합 전략과 제언 428 제8장 결 론 443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및 함의 445 제2절 정책 제언 474 참고문헌 485 부록: 조사표 511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사회보장부문의 서비스 전달체계 연구 -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통합성 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Social Security Service Delivery System: An Integrated Approach to Customized Service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전달체계
dc.subject.keyword통합성
dc.subject.keyword맞춤형 복지
dc.subject.keyword서비스
dc.subject.keyword사회보장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강혜규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세경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함영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정은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태은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6-37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6-37
dc.subject.kihasa사회서비스 일반
dc.subject.kihasa지역사회보장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지역사회보장
사회서비스 > 사회서비스 일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7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