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Low fertility and family policy in Eastern European countr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신윤정
dc.date.accessioned2017-02-20T09:21:38Z
dc.date.available2017-02-20T09:21:38Z
dc.date.issued2017-01-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0752
dc.identifier.urihttp://dx.doi.org/10.23062/2017.01.9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체코, 헝가리, 폴란드, 슬로바키아를 중심으로 사회주의 및 체제 변환기 동안의 젠더 규범, 가족구조, 출산율 그리고 가족 정책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동유럽 국가들은 사회주의 시절부터 지금까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중요시해 왔으나 전통적인 성역할 규범이 노동시장과 가족 생활에 남아 있고, 가족 정책도 이러한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유럽 국가들의 합계출산율 회복에 따라 동유럽 국가에서도 출산율 반등은 이뤄졌지만 그 규모는 서유럽 국가와 비교해 낮은 수준이다. 동유럽 국가의 사례는 우리나라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이 희망하는 자녀 수를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책과 이를 지지할 수 있는 사회적인 변화가 요청된다는 시사점을 준다.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dc.title.alternativeLow fertility and family policy in Eastern European countrie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동유럽 국가의 가족 구조
dc.subject.keyword동유럽 국가의 출산율
dc.subject.keyword동유럽 국가의 가족정책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신윤정
dc.identifier.doi10.23062/2017.01.9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17
dc.citation.volume243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101
dc.citation.endPage11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17년 1월 통권 제243호, pp.101-11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7.1 No.243, pp.101-112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