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자살취약계층의 심리, 보도의 왜곡성, 위험성이 보도규제에 미치는 영향: 제3자 효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Mediation Effect of the Third Person Effect among Psychological Factors, Distortion, Riskiness Factors and the Intention of Regulation of Suicide News Reports

제목
자살취약계층의 심리, 보도의 왜곡성, 위험성이 보도규제에 미치는 영향: 제3자 효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Mediation Effect of the Third Person Effect among Psychological Factors, Distortion, Riskiness Factors and the Intention of Regulation of Suicide News Reports
저자

한택수 ; 유현재

키워드
자살보도 ; 자살보도권고기준 2.0 ; 제3자 효과 ; 사회적 거리감 ; 매개효과 ; Suicide News Report ; Suicide News Report Guidelines ; the Third-Person Effect ; Social Distance Corollary ; Mediation Process
발행연도
2016-12-3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4호, pp.398-430
초록
본고에서는 10대, 20대, 30대의 사망원인 1위인 자살이 언론 보도에서 다뤄지는 행태에 대한 규제가 필요함을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538명의 10대, 20대, 30대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그들의 자아존중감, 우울, 관여도 등의 심리적 변인과 자살보도의 왜곡성과 위험성 변인이 제3자 효과를 매개하여 자살관련보도의 규제까지 이어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과 사회적 거리가 먼 타인일수록 자살보도에 부정적 영향을 받는다는 제3자 효과를 측정한 결과, 사회적 거리감이 클수록 지각적 편향이 확대되었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수준 차이는 제3자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자아존중감, 우울, 관여도, 보도의 왜곡성과 위험성 변인과 자살보도규제 변인을 제3자 효과가 매개하는지 추정하고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언론의 왜곡된 자살보도와 그에 대한 자살보도규제 변인이 제3자 효과를 통해 매개되었다. 건강 관련 정책 형성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헬스커뮤니케이션학적 관점으로 본 연구를 진행한 결과, 자살보도의 10대, 20대, 30대 수용자는 왜곡된 자살보도에 자신보다 타인들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지각적 편향을 보인다. 그리하여 타인들이 자살보도로부터 받을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살보도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기에, 그에 따르는 실질적 보도규제 정책 수립으로 이어져야한다.
ISSN
1226-072X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