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근골격계 증상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s of Elderly Care Facility Employees’ Musculoskeletal Symptoms on Pro-social Behavior: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rvice Orientation

제목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근골격계 증상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s of Elderly Care Facility Employees’ Musculoskeletal Symptoms on Pro-social Behavior: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rvice Orientation
저자

김관용 ; 서진숙 ; 곽의수 ; 장은석

키워드
노인요양시설 ; 근골격계 증상 ; 서비스지향성 ; 친사회적 행동 ; Elderly Care Facilities ; Musculoskeletal Symptoms ; Service Orientation ; Pro-social Behavior
발행연도
2016-12-3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4호, pp.256-283
초록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근골격계 증상이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 속에서 서비스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서울특별시의 80개 노인요양시설 종사자 400명을 대상으로 우편 및 방문을 통하여 조사를 하였다. 61개 시설 302명의 종사자들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최종 분석에는 295명의 응답내용이 사용되었다. 매개 회귀분석에 의한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골격계 증상은 친사회적행동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쳤다. 둘째, 근골격계 증상과 서비스지향성을 함께 투입했을 때는 서비스지향성만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매개변수 서비스지향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것은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근골격계 증상의 효과와 비교할 때 서비스지향성이 더 중요한 변수로 밝혀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근골격계 증상이 매개변수인 서비스지향성을 통하여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효과를 나타냈기 때문에 그만큼 근골격계 증상의 중요성도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 시설에서 종사자들의 친사회적행동을 높이기 위한 근골격계 증상 관리 방안과 서비스지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ISSN
1226-072X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