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소득수준별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비교연구 = Factors Predi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A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t Income Groups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박순미 |
dc.contributor.author | 손지아 |
dc.date.accessioned | 2017-01-09T02:21:49Z |
dc.date.available | 2017-01-09T02:21:49Z |
dc.date.issued | 2016-12-31 |
dc.identifier.issn | 1226-072X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0572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소득수준별로 실증,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 중, 가구유형이 노인부부세대, 연령대는 65-69세, 학력은 초등 졸인 가구를 대상으로 소득수준을 상, 중, 하로 구분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소득수준별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건강상태, 친구·이웃·지인의 왕래·연락 변인은 소득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득수준 하 집단의 경우 건강상태, 친구·이웃·지인의 왕래·연락 정도, 형제·자매 등 왕래·연락 정도, 각종 복지, 문화 시설 또는 서비스 이용여부, 노인복지기관 이용여부 등이, 소득수준 중 집단은 건강상태, 친구·이웃·지인의 왕래·연락 정도, 각종 복지, 문화 시설 또는 서비스 이용여부, 형제·자매 등 왕래·연락 정도 등이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 상 집단은 건강상태, 형제·자매 왕래·연락 정도만이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소득수준 하, 중 집단에서는 공식적, 비공식적 지지 체계의 영향력이 크며, 소득수준 상 집단은 개인적 요인들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소득수준별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적, 실천적 제안을 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 As the nation rapidly steps into the aging society, comprehensive understating on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is critical to improve their well-being.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f the Elderly (NSE) of the 2014,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 set of variables predi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older adults was tested i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s: (1) health condition; (2)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3) employment status; (4) informal social support. (5) formal social suppor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older adults was further tested by households income groups: lower income, middle income, and higher income. Findings from this study have provided some evidences that predictors associated with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older adults are varied by income groups. In sum, contacts with friends, acquaintances and formal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 lower income group and middle income group. individual factor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for higher income group. Finally, implications for program development and policy were further discussed. |
dc.format.extent | 28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title | 노인의 소득수준별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비교연구 |
dc.title.alternative | Factors Predi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A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t Income Groups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노인가구 |
dc.subject.keyword | 생활만족도 |
dc.subject.keyword | 소득수준 |
dc.subject.keyword | 노인실태조사 |
dc.subject.keyword | Elderly Household |
dc.subject.keyword | Life Satisfaction |
dc.subject.keyword | Income Level |
dc.subject.keyword | Survey of the Elderly |
dc.citation.title | 보건사회연구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
dc.citation.volume | 36 |
dc.citation.number | 4 |
dc.citation.startPage | 97 |
dc.citation.endPage | 124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4호, pp.97-124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6 No.4, pp.97-124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