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식품안전관리 추진전략과 향후 추진방향에 관한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정기혜
dc.contributor.author곽노성
dc.contributor.author김정선
dc.contributor.author최지현
dc.contributor.author박지은
dc.contributor.author정진욱
dc.contributor.author윤시몬
dc.contributor.author신정훈
dc.date.accessioned2016-12-16T08:15:42Z
dc.date.available2016-12-16T08:15:4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0352
dc.description.abstract􀂁 제2차 식품안전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국내외 식품안전관리 현황 파악 및 향후 국내외 식품안전환경변화 예측 􀂁 제2차 식품안전기본계획수립을 위한 단계별 Key Words 선정 􀂁 제2차 식품안전기본계획수립의 기본 틀 마련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Summary 1 요약 5 제1장 서론 53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배경 55 제2절 연구목적 57 제3절 연구내용 57 제4절 연구 방법 59 제5절 분석방법 60 제6절 연구수행 체계 62 제2장 국내‧외 식품안전환경 변화 63 제1절 식품사고 유형 변화 65 제2절 기후변화 등 환경 변화 69 제3절 수입식품 등에 의한 식품유해물질 증가 73 제4절 신소재 식품 및 신기술 출현 80 제5절 FTA 확대 85 제6절 소비자의 안전한 식품 선택을 위한 식품 인증 등 제도 강화 88 제7절 인구구조 및 식이섭취 변화 94 제8절 소비자 만족도에 근거한 식품안전관리 98 제9절 방사성물질 오염으로 인한 식품안전 위협 99 제3장 주요국 식품안전 추진전략 103 제1절 국제기구 105 제2절 미국 117 제3절 캐나다 125 제4절 EU 131 제5절 일본 137 제6절 중국 145 제7절 요약 및 시사점 148 제4장 제1차 식품안전기본계획에 대한 평가 고찰 151 제1절 총평 153 제2절 농림수산식품부 156 제3절 식품의약품안전청 165 제5장 제2차 식품안전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본 틀 마련 175 제1절 기본 틀 177 제2절 전문가 조사 실시 183 제6장 제2차 식품안전기본계획 수립안 209 제1절 기본 방향 211 제2절 식품안전환경 변화 212 제3절 (전략)목표 213 제4절 추진전략 214 제5절 세부실천과제 218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언 227 제1절 결론 229 제2절 정책 제언 231 참고문헌 233 부 록 2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6
dc.languagekor
dc.publisher국무총리실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title식품안전관리 추진전략과 향후 추진방향에 관한 연구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정선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윤시몬
dc.type.other정책보고서
dc.identifier.urlhttps://www.prism.go.kr/homepage/entire/researchDetail.do?researchId=1101000-201100019
dc.identifier.localId정책보고서 2011-34
dc.subject.kihasa식품/의약품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식품/의약품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