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통합위원회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연구의 방법과 구성
제2장 소득지위 이동성의 변화 실태와 요인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데이터와 분석방법 제3절 소득지위 이동성 변화의 실태 제4절 소득범주별 소득이동성 비교 제5절 소득지위 이동 경험의 집단별 비교 제6절 소득 분위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7절 소득이동성 확대를 위한 정책 방향
제3장 노동시장 이동성 실태와 노동시장 위험 보호 방안 모색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소득불평등과 저소득층의 노동시장 지위 제3절 노동시장소득의 이동성과 노동시장 지위의 변화 제4절 노동시장 위험 보호를 통한 노동시장 이동성 제고 방안 모색
제4장 한국교육의 특성과 계층-PISA로 본 한국 교육의 개혁과제-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가정과 학교 요인의 학업성취 영향 분석 제3절 PISA 특성과 분석방법 제4절 국가 비교분석 및 한국교육의 특성 제5절 정책적 함의
제5장 사회적 이동성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 제1절 사회적 이동성 변화의 실태와 정책적 대응의 방향 제2절 노동시장의 위험성 완화를 위한 고용·복지·교육정책의 연계 제3절 빈곤 위험 계층에 대한 현물급여 확대 제4절 학교교육 개혁을 통한 계층 지위의 세대간 이전 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