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가족부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공중위생업소의 위생서비스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체계를 구축함을 목적으로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시범 평가를 실시하여 현재 공중위생업소의 서비스 제공 수준을 파악하며, 2010년부터 시작될 지자체의 공중위생업소 위생서비스 평가 체계를 구축함이 주 목적이고, 세부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음. 첫째, 피부미용업‧세탁업‧위생관리용역업 현황 및 문제점 파악 둘째, 피부미용업‧세탁업‧위생관리용역업의 위생서비스 평가도구 개발 및 평가기준 마련 셋째, 피부미용업‧세탁업‧위생관리용역업에 관한 외국의 평가 현황 파악 넷째, 피부미용업‧세탁업‧위생관리용역업의 위생서비스 예비평가 실시 다섯째, 피부미용업‧세탁업‧위생관리용역업 우수업소 인증 로고 개발 및 로고 관리 지침 마련 여섯째, 피부미용업‧세탁업‧위생관리용역업 평가 매뉴얼 및 업소 자체점검표 개발 일곱째, 예비 평가 결과에 근거한 피부미용업‧세탁업‧위생관리용역업 평가 틀 확정 여덟째, 2010년부터 지자체에서 실시할 공중위생서비스평가 위한 평가체계 구축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배경 제2절 연구목적 제3절 연구내용 제4절 연구 및 분석방법
제2장 국내‧외 피부미용업‧세탁업‧위생관리용역업 시장 및 관리 현황 제1절 국내 현황 제2절 외국 현황
제3장 피부미용업‧세탁업‧위생관리용역업 평가도구 개발 제1절 개발원칙 및 목적 제2절 내용 및 구성 제3절 신뢰도 검증 제4절 조사 실시
제4장 피부미용업 위생서비스 시범평가 결과 제1절 평가대상업소 제2절 총괄 결과 제3절 지역별 평가 결과 제4절 업소별 평가 결과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제5장 세탁업 위생서비스 시범평가 결과 제1절 평가대상업소 제2절 총괄 결과 제3절 지역별 평가 결과 제4절 업소별 평가 결과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제6장 위생관리용역업 위생서비스 시범평가 결과 제1절 평가대상 업소 제2절 총괄 결과 제3절 지역별 평가 결과 제4절 업소별 평가 결과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제7장 국내‧외 공중위생 관련 평가 및 인증제도 현황 제1절 한국 제2절 일본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제8장 위생서비스 우수업소 인증 로고 개발 제1절 인증 로고 개발 제2절 로고 선호도 조사 제3절 우수로고 제작 지침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