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청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필요성 제2절 연구목적 및 내용 제3절 연구방법 제4절 용어의 정의 제2장 경기도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과 전망 제1절 경기도 인구특성 제2절 경기도의 사회‧경제적 특성 제3절 타시‧도의 사회‧경제적 특성 제3장 중앙 및 지방정부의 보육사업 제1절 중앙정부의 보육정책 제2절 경기도 보육정책 제4장 경기도 보육자원의 실태와 특성 제1절 보육 공급 현황 제2절 보육인력 및 지원체계 현황 제3절 보육시설 환경 및 운영 제4절 정책시사점 제5장 경기도민의 보육 이용 및 욕구 실태 제1절 미취학 아동 보육 이용 및 욕구 제2절 방과후보육 이용 및 욕구 제3절 정책시사점 제6장 외국의 보육정책 제1절 스웨덴의 보육정책 제2절 프랑스의 보육정책 제3절 일본의 보육정책 제4절 정책시사점 제7장 경기도 보육수요 추정 제1절 영유아 보육수요 제2절 방과후 보육‧교육수요 추계 제8장 경기도 중장기 보육발전계획 제1절 보육발전계획의 기본방향 제2절 보육 기반 확립 제3절 보육재정 제4절 보육서비스 수준 제고 제5절 지도‧감독 행정 및 지원 등 전달체계 제6절 소요예산 및 정책 우선순위 제9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