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노령층 소득배분의 적절성 탐색을 위한 국제비교 = A Comparative Study on the Adequacy of Income Distribution for the Aged in OECD Countr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석재은
dc.contributor.author김봉근
dc.contributor.author임병인
dc.date.accessioned2016-07-08T01:39:59Z
dc.date.available2016-07-08T01:39:59Z
dc.date.issued2016-06-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6271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노령층에 대한 소득배분의 적절성을 세대 간 공평성(intergenerational equity)과 노령층 최소소득보장(minimum income guarantee)의 조화로운 충족으로 보는 세대 통합적 분배 정의(distributional justice)의 관점에서 OECD 국가들을 비교적으로 평가하였다. LIS 원자료를 활용한 국제비교 분석을 통하여, 공적 및 사적의 모든 소득원을 포함하는 최종적인 소득배분의 관점에서 노령층에 대한 소득배분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노령층 내 소득배분 적절성은 계층 간 평등도 및 젠더 평등도를 통해 평가하였다. 노령층 소득배분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OECD 국가들을 유형화한 결과는 에스핑 앤더슨의 복지레짐 분류와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노르웨이, 스웨덴 및 동유럽국가 등이 포함된 1군집은 노령층의 최소보장충족을 달성하면서도 세대 간 공평한 소득배분이 이루어지는 효과적이면서 효율적인 소득배분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나, 젠더 간 평등한 소득배분 측면에서는 다소 낮은 성과를 보였다. 대륙 유럽국가와 캐나다, 룩셈부르크가 포함된 3군집은 세대 간 공평한 소득배분이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지나 노령집단 내 불평등도가 높은 특징을 갖고 있었다. 북유럽, 동유럽 국가군이 포함된 1군집의 경우 사회지출이 크게 높지 않음에도 분배 정의의 성과가 높게 나타나, 한국이 노령층에 대한 적절한 소득배분 정책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aims to find the adequate resource distribution for old-age popul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generational equity and intra-generational equality. Therefore, by analyzing LIS raw data, on the viewpoint of the final resource distribution, the fairness of resource distribution between elderly groups and working age groups in countries, the unfairness among income bracket within elderly groups and the unfairness of resource distribution among genders were assessed from the perspective of cross-national comparison. Also, the types of resource distribution to elderlies were classified based on 4 standards as above. As a result, the average level of resource distribution in elderly groups compared to working age groups was 74%, and Cluster 1 (Norway, Sweden, Eastern European Countries) displayed the most ideal characteristic of resource distribution which considers both resourc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As Cluster 1 showed the lowest poverty ratio of elderlies and the income inequality among elderly groups, it assured the effectiveness while it was ranked on the third in the ratio of resource distribution to elderly groups compared to working age groups proving that it is relatively efficiently distributing resour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Ⅳ. 노령층 소득배분의 국가 간 비교와 적절성 평가 Ⅴ. 노령층 소득배분의 적절성 통합기준에 따른 국가 유형화 및 특징 Ⅵ. 결론: 한국 노령층 소득배분에의 시사점 참고문헌
dc.format.extent3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노령층 소득배분의 적절성 탐색을 위한 국제비교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n the Adequacy of Income Distribution for the Aged in OECD Countrie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노령소득
dc.subject.keyword소득배분
dc.subject.keyword분배적 정의
dc.subject.keyword국제비교
dc.subject.keyword세대 간 공평성
dc.subject.keyword계층 간 평등
dc.subject.keyword젠더 평등
dc.subject.keywordOld-Aged Income
dc.subject.keywordIncome Distribution
dc.subject.keywordDistributional Justice
dc.subject.keywordInter-generational Equity
dc.subject.keywordIntra-generational Equality
dc.subject.keywordGender Equality
dc.subject.keywordLIS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6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57
dc.citation.endPage8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2호, pp.57-8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6 No.2, pp.57-89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