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이주연 |
dc.date.accessioned | 2016-05-20T08:20:35Z |
dc.date.available | 2016-05-20T08:20:35Z |
dc.date.issued | 2016-05-01 |
dc.identifier.issn | 1226-364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6058 |
dc.identifier.uri | http://dx.doi.org/10.23062/2016.05.9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원고는 OECD 아동복지모듈(Child Well-being Module)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을 비롯한 OECD 회원국의 아동복지수준을 살펴보았다. OECD 국가들의 아동복지 성과는 국가별?영역별로 상이하였으나, 재정투입에서 아동연령이 증가할수록 높았으며, 연령증가에 따라 교육영역의 투자가 증가하였다. 한국은 교육영역에서 최상위 성과를, 건강영역에서는 좋은 성과를 보였으나, 아동권리 측면의 성과지표인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 ‘10대 자살율’, ‘NEET 비율’등에서는 타 OECD 회원국과 비교할 때에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 | application/octet-stream |
dc.format | application/octet-stream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title | OECD 아동복지지표를 통해 본 아동의 삶의 질 |
dc.title.alternative | Child’s Quality of Life Measured by OECD Child Well-being Module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OECD 아동복지지표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이주연 |
dc.identifier.doi | 10.23062/2016.05.9 |
dc.citation.title | 보건복지포럼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dc.citation.volume | 2016 |
dc.citation.volume | 235 |
dc.citation.number | 5 |
dc.citation.startPage | 91 |
dc.citation.endPage | 106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복지포럼 2016년 5월 통권 제235호, pp.91-106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6.5 No.235, pp.91-106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