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전국 각 시도별 지역사회 통합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체감도 조사를 통하여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현황을 평가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함. 지역사회 통합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체감도를 평가하기 위한 문항을 개발하고, 지역주민들의 건강관리 현황과 국민들이 알고 있는 또는 이용 및 필요로 하는 건강증진사업 현황을 조사하여, ‘지역사회 통합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인지도, 만족도 등의 체감도를 측정함으로써, 정책평가 및 사업관리에 활용하고자 함. 향후 지역사회 통합 건강증진사업의 제도 개선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Table Of Contents
요 약 1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 필요성 7 제2절 연구 목적 14
제2장 선행연구 및 건강증진사업 현황 15 제1절 만족도 및 체감도 조사 관련 선행연구 17 제2절 생애주기별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현황 22
제3장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체감도 사전조사 결과 29 제1절 사전조사 내용 및 방법 31 제2절 설문문항의 신뢰도 검증 35 제3절 건강증진사업의 인지도 · 참여도 · 만족도 41 제4절 생애주기별 건강증진사업 요구도의 사전 조사 분석 결과 45 제5절 설문문항의 요인 분석 결과 54
제4장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체감도 조사 방법 59 제1절 표본설계 61 제2절 가중치 설정 70 제3절 조사 진행 75
제5장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체감도 조사 결과 81 제1절 조사내용 83 제2절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88 제3절 생애주기별 건강증진사업 요구도 90 제4절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체감도 분포 112 제5절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체감도 비교 123
제6장 특광역시에서의 생애주기별 건강증진사업 요구도 및 체감도 133 제1절 서울특별시 135 제2절 부산광역시 173 제3절 대구광역시 195 제4절 인천광역시 216 제5절 광주광역시 235 제6절 대전광역시 255 제7절 울산광역시 275 제8절 세종특별자치시 294
제7장 도지역에서의 생애주기별 건강증진사업 요구도 및 체감도 313 제1절 경기도 315 제2절 강원도 347 제3절 충청북도 367 제4절 충청남도 387 제5절 전라북도 407 제6절 전라남도 427 제7절 경상북도 447 제8절 경상남도 466 제9절 제주특별자치도 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