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강혜규 |
dc.contributor.author | 박세경 |
dc.contributor.author | 함영진 |
dc.date.accessioned | 2016-04-25T09:00:37Z |
dc.date.available | 2016-04-25T09:00:37Z |
dc.date.issued | 2016-01-01 |
dc.identifier.issn | 1226-364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5691 |
dc.identifier.uri | http://dx.doi.org/10.23062/2016.01.5 |
dc.description.abstract |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범위, 속도, 양적 측면의 변화가 복지부문 전반에 확산되면서, 복지의 확대와 그 방법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새로운 제도의 도입보다 운영의 효율화와 체감도 향상을 위한 정책추진 주체, 전달체계, 재원 마련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013년 정부의 출범 이후 ‘국민중심의 맞춤형 복지전달체계 개편’이 추진되었고, 올해 연두업무보고에서는 ‘읍·면·동의 복지 허브화’가 본격 추진될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 사회보장분야 정책 집행의 중앙-지자체 간 거버넌스, 사회보장부문의 정보화, 다양한 서비스의 수요 · 공급 진단 및 공급 기반 개선에 대한 보다 장기적이고 면밀한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title | 복지행정부문의 현황과 정책과제 |
dc.title.alternative | Korea’s Welfare Administration: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사회서비스 |
dc.subject.keyword | 복지행정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강혜규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박세경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함영진 |
dc.identifier.doi | 10.23062/2016.01.5 |
dc.citation.title | 보건복지포럼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dc.citation.volume | 2016 |
dc.citation.volume | 231 |
dc.citation.number | 1 |
dc.citation.startPage | 41 |
dc.citation.endPage | 50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복지포럼 2016년 1월 통권 제231호, pp.41-50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6.1 No.231, pp.41-50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