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청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 미국, EU, 일본, 호주와 같은 주요 선진국과 대표적 수출국인 중국의 식품 및 의약품 관리체계에 대한 기본현황 조사 및 우수 정책사례 발굴을 통해 바람직한 식의약관리정책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세부목표는 다음과 같음. - 첫째,유관기관의일반현황(인력,조직,예산등) - 둘째,해당국가의관련주요법령체계(관리범위등) - 셋째,식품,의약품,화장품,의료기기,독성 분야의정책동향파악 - 넷째,국내활용가능한우수정책사례제안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제3절 연구 방법 제4절 참고사항
제2장 미국의 기관 현황 및 정책동향 제1절 식품 및 의약품 관리체계 제2절 식품의약국 기관 현황 제3절 식품의약국 정책동향 제4절 시사점
제3장 일본의 기관 현황 및 정책동향 제1절 식품 및 의약품 관리체계 제2절 후생노동성 제3절 국립의약품식품위생연구소 제4절 국립건강영양연구소 제5절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 제6절 시사점
제4장 유럽연합의 기관 현황 및 정책동향 제1절 식품 및 의약품 관리체계 제2절 보건소비자보호총국 제3절 유럽식품안전청 제4절 기업총국 제5절 유럽의약품청 제6절 시사점
제5장 호주의 기관 현황 및 정책동향 제1절 식품 및 의약품 관리체계 제2절 보건고령화부 제3절 의약품관리국 제4절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기구 제5절 시사점
제6장 중국의 기관 현황 및 정책동향 제1절 식품 및 의약품 관리체계 제2절 위생부 제3절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국 제4절 국가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 제5절 시사점
제7장 우수정책사례 활용방안 제1절 식품안전 지표 제2절 국제협력 제3절 의약품 부작용관리 제4절 의약품의 근거 강화 및 정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