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 가구와 비빈곤 가구의 청소년 공격성 발달궤적 잠재계층 비교: 성장혼합모형(GMM)을 활용하여 = The Development of Aggression During Adolescence: A Comparison of Trajectories between Poverty and Non-poverty Groups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김동하 |
dc.date.accessioned | 2016-04-12 |
dc.date.available | 2016-04-12 |
dc.date.issued | 2016-03-31 |
dc.identifier.issn | 1226-072X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5553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공격성이 매우 개별적이고 변동적인 특성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을 하나의 동질적 집단으로 간주한 기존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아동기 후기부터 청소년기 후기에 이르기까지 공격성의 발달궤적 유형을 탐색하고, 이를 빈곤 가구와 비빈곤 가구로 구분하여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CBCL 공격성 척도를 토대로 대상중심접근인 성장혼합모형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초등학생에서 고등학생 시기까지 총 세 시점 가운데 최소한 두 시점 이상 응답한 604명의 청소년이다. 분석결과, 전체 청소년의 공격성 발달궤적은 공격성 유지집단, 공격성 상승집단, 공격성 감소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아울러 빈곤 가구와 비빈곤 가구의 청소년 공격성 발달궤적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빈곤 가구의 청소년들 중에서 일부는 초등학생 시절부터 매우 높은 공격성 수준을 보였으며, 청소년 후기에 공격성이 더 상승되는 고위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비빈곤 가구에서는 초기에 다양한 수준의 공격성을 보인 청소년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중간 이하의 공격성으로 수렴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빈곤 가구에서는 공격성이 점차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보다 심각한 일탈행위에 대한 조기예측요인으로 공격성에 대한 체계적이고 개별화된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plor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ggression during adolescence and to compare the trajectories between poverty and non-poverty groups. The study data were derived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The sample consists of 604 youths observed from their late-elementary school years until the end of their high school years. Growth Mixture Models (GMM) were utilized to explore the heterogeneity in aggression development over three time periods. As a result, three distinct trajectories were identified for the entire sample: chronic moderate, moderate increasing, and low increasing classes. In addition, a difference between poverty and non-poverty groups was found. The majority of adolescents showed a consistently moderate level of aggression over the study period regardless of poverty status. However, some youths from impoverished families who initially had a high level of aggression were found to have an increased level of aggression by the end of their adolescence. These adolescents comprise a potentially high risk group that requires early intervention. The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prevention programming for youth with increasing aggress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dc.format.extent | 29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title | 빈곤 가구와 비빈곤 가구의 청소년 공격성 발달궤적 잠재계층 비교: 성장혼합모형(GMM)을 활용하여 |
dc.title.alternative | The Development of Aggression During Adolescence: A Comparison of Trajectories between Poverty and Non-poverty Groups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청소년 |
dc.subject.keyword | 공격성 |
dc.subject.keyword | CBCL 척도 |
dc.subject.keyword | 잠재성장혼합모형 |
dc.subject.keyword | 빈곤 |
dc.subject.keyword | Adolescence |
dc.subject.keyword | Aggression |
dc.subject.keyword | CBCL Scale |
dc.subject.keyword | Growth Mixture Model |
dc.subject.keyword | Poverty |
dc.citation.title | 보건사회연구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
dc.citation.volume | 36 |
dc.citation.number | 1 |
dc.citation.startPage | 89 |
dc.citation.endPage | 117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1호, pp.89-117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6 No.1, pp.89-117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