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 주요연구내용 - 2002년 이후 APEC 사회안전망 능력배양 네트워크의 운영 및 2007년 3월에 개최한 APEC 역내 사회안전망 관련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사회안전망 능력배양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 운영 및 교과내용에 대해 고찰하고, APEC역내 국가의 사회안전망 능력배양에 필요한 향후 정책의 방향을 제시 ▣ 보고서의 구성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제Ⅰ부 사회안전망 능력배양 네트워크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제2장 APEC 사회안전망 능력배양 네트워크 운영 제1절 구축과정 제2절 네트워크 운영 제3절 기본활동
제3장 APEC 사회안전망능력배양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제1절 운영목적 제2절 운영개요 제3절 교육훈련 프로그램 주제 및 진행방법 제4절 교육훈련 프로그램 진행일정 제5절 교과별 세부강의 내용 제6절 운영준비 및 기타 행정사항 제7절 결과 및 평가
제Ⅱ부 사회안전망 능력배양 교육훈련 프로그램 주제별 내용
제4장 사회안전망 능력배양을 위한 요소 제1절 위기대처정책 제2절 사회안전망의 설계 및 실행 제3절 사회안전망의 고안과 시행시의 원칙 제4절 사회안전망의 효율성 제고
제5장 사회안전망 구축에 있어 취약성의 진단 제1절 배경 제2절 취약성 진단의 필요성 제3절 취약계층과 정책 대응: 한국의 선별 사례 제4절 향후 도전
제6장 사회안전망 프로그램 기획 및 표적화 제1절 사회안전망 프로그램의 기획 제2절 표적화: 문제의 분석, 욕구의 파악, 그리고 대상자 선정
제7장 사회안전망 프로그램의 모니터링 및 평가 제1절 논리모델 제2절 논리모델을 읽는 방법 제3절 논리모델을 이용한 프로그램의 평가 제4절 형성평가와 결과평가를 통한 질문이 어떻게 프로그램의 운영을 돕는가? 제5절 논리모델의 연습 제6절 프로그램의 실패: 두려워할 일만은 아니다! 제7절 평가지표 및 자료의 설정
제8장 조건부 현금 이전: 빈곤 경감을 위한 효과적 도구 제1절 조건부 현금 이전 제2절 CCT의 발자취 제3절 CCT의 올바른 설계 제4절 터키의 사회적 보호 제5절 터키의 CCT 제6절 CCT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제7절 시사점 및 향후과제
제9장 세계화 환경에서의 노동시장 개입: 대만의 사례연구 제1절 대만 경제활동인구의 현황 제2절 인적자원 개발: 논란이 되는 문제들 제3절 주요 노동정책 문제 제4절 취업촉진계획 제5절 정책적 함의
제10장 사회안전망 데이터 관리 제1절 도입: 왜 데이터 관리인가? 제2절 정보 생산 현황 제3절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