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어촌은대표적인 취약계층이라고 할 수 있는 독거노인, 조손가정, 다문화가정 등이 밀집되어 있어 경제위기로 인해 생활여건은 더욱 열악해질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한 보건복지 수요도 증가하고 있음. - 그러나 농어촌은 인구의 과소화로 인해 시장에 의한 서비스 공급과 공공에 의한 서비스 공급에서 모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농어촌 주민들은 도시 주민들에 비해 삶의 질 유지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 공급에 있어 상대적 박탈을 경험하고 있음. - 보건복지부는 ‘농어촌주민의 보건복지 증진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농어촌 보건복지 증진을 위해 ‘농어촌 보건복지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있으며, 제2차 계획이 2014년에 종료됨에 따라 제3차계획(‘15~’19)을 수립하여야함.
Table Of Contents
목 차
요약 1
제1부 계획 수립 배경 15 제1장 서론 1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0 제3절 농어촌 환경변화 22
제2장 제2차 기본계획 평가 35 제1절 평가방법 및 내용 37 제2절 설문조사를 이용한 기본계획 평가 결과 46 제3절 질적조사를 이용한 기본계획 평가 결과 57
제3장 계획 수립 기본 방향 81 제1절 계획 수립 틀 83 제2절 사업 영역별 추진과제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