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김현경 |
dc.contributor.author | 이현주 |
dc.contributor.author | 양혜원 |
dc.contributor.author | 김근혜 |
dc.date.accessioned | 2016-03-17T07:20:57Z |
dc.date.available | 2016-03-17T07:20:57Z |
dc.date.issued | 2015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5330 |
dc.description.abstract | 가. 저소득층 문화 향유 실태 분석과 문화적 소외계층 정의 나. 문화복지 실태 분석 다. 통합문화이용권 지원 대상 기준 마련 라. 통합문화이용권 급여방식과 수준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 차 제1장 연구목적과 개요 제1절 : 연구 배경 2 제2절 : 연구 목적 3 제3절 : 연구 개요 4 1. 연구 내용 4 2. 연구 방법 5 제2장 통합문화이용권의 현황과 과제 제1절 : 문화복지사업의 현황 8 1. 우리나라 문화복지정책의 유형 8 2. 복권기금 문화나눔사업 현황 10 제2절 : 통합문화이용권사업의 현황과 한계 15 제3장 문화소비·향유실태분석과 정책적 함의 제1절 : 저소득층 문화소비 32 1. 분석내용 32 2. 분석방법 34 3. 분석결과 41 제2절 : 저소득층 문화향유 57 1. 분석내용 57 2. 분석방법 57 3. 분석결과 58 제4장 통합문화이용권 대상선정 제1절 : 통합문화이용권 대상 선정기준 70 제5장 통합문화이용권 지원방식과 수준 제1절 : 통합문화이용권 지원방식 84 1. 문화누리카드(바우처방식)를 통한 선택권 확보 84 2. 기획사업을 통한 보완 90 3. 지원범위(품목)의 점검 및 점진적 확대 97 4. 홍보 및 정보제공 기능 확대 102 제2절 : 통합문화이용권 지원수준 105 제6장 요약 및 시사점 제1절 : 요약 및 시사점 111 참고문헌 117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123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title | 통합문화이용권사업 지원 대상에 대한 연구(기초생활보장법 개편을 중심으로)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통합문화이용권사업 |
dc.subject.keyword | 기초생활보장법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김현경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이현주 |
dc.type.other | 정책보고서 |
dc.identifier.localId | 정책보고서 2015-12 |
dc.subject.kihasa | 공공부조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