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 주요연구내용 - 노인돌보미 바우처 사업 추진에 활용할 기초 자료로서 노인돌보미 바우처의 이용욕구를 파악하고 수요를 예측하여 서비스 공급 확충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과제를 도출함 - 노인생활 지원 및 부양부담 경감을 위한 돌봄 서비스 욕구 파악 - 노인돌보미 바우처에 대한 이용욕구 분석 및 수요추계 - 노인돌보미 바우처 사업의 운영 지원 및 자문 - 노인돌보미 바우처 사업의 활성화 방안 제시 ▣ 보고서의 구성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2장 노인돌보미 바우처 사업의 추진 배경 제1절 보건복지서비스 분야 4대 바우처 사업의 추진 제2절 노인돌보미 바우처 사업의 추진
제3장 노인 돌봄서비스의 이용 욕구 제1절 노인수발보험제도 시범지역 노인의 돌봄서비스 이용 욕구 제2절 일반노인의 돌봄서비스 이용 욕구
제4장 노인돌보미 바우처의 이용 욕구 및 수요 추계 제1절 노인돌보미 바우처 이용 욕구관련 전화조사 결과 분석 제2절 노인돌보미 바우처 수요의 추계
제5장 노인돌보미 바우처 사업의 개선 과제 제1절 사회서비스 확충과 바우처 제도의 활성화 방안 제2절 노인돌보미 바우처 대상자 선정기준 관련 쟁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