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국민건강과 안전을 위한 아동안전전략 구축방안 - 아동손상예방 전략을 중심으로 = Healthy and Safe Korea : Focusing on Child Injury Prevention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미숙
dc.contributor.author이주연
dc.contributor.author김지민
dc.contributor.author정윤경
dc.contributor.author서울대학교병원
dc.date.accessioned2016-03-03T06:02:33Z
dc.date.available2016-03-03T06:02:3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isbn978-89-6827-283-7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5258
dc.description.abstract□ 기존의 연구는 안전사고 인식 및 경험을 아동의 생활주변에 국한하여 실시함. 아울러 안전교육도 학교과 가정 및 주변환경을 중심으로 하고 있음. □ 최근 발생하고 있는 체험활동 중의 안전사고에 대한 연구는 미약하여 체계적인 정책대응을 위해 연구의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음. □ 본 연구의 차별성: 아동의 주변환경 및 각종 활동에 있어서의 안전실태 및 사고 원인을 아동 및 아동관련 실무자를 대상으로 실태조사하여 파악하고 아동사고 대응 전략과 개선방안을 마련함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build an evidence based child safety strategies by examining and analyzing several data on child injury. Both a telephone survey and the SNS Big data survey have been conducted to assess public awareness on child safety. The first aid records and the emergency department medical records have been analyz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injury as well as to identify major causes and results of child injury. Risk factors and prevention strategies are examin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child and parents of the injured, and the burden of child injury has been estimated based on the mortality statistic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and the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The result shows that the child injury rate has increased, whereas the child safety mortality rate has steeply dropped. Infant and youth have been found high risk groups. Injury mainly occurs in the house or on the road during on weekends than weekdays. Traffic accidents and falls are the main mechanisms of child injury. Je Ju-do and Kang Won-do are regions with the high child injury occurrences. Among all the mechanisms of child injury, traffic accidents and falls are the main injury mechanisms causing fatal head injury, death and the highest burden of disease. This study suggests that to prevent child injury it is necessary to build differential injury prevention strategies by gender, age, region and injury mechanisms, construct infra structure such as the injury surveillance system and the control tower of child injury, and develop a safety oriented culture through a safety education and the public campaign on child saf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1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 제2절 연구내용 19 제3절 연구방법 22 제2장 아동안전에 대한 이론적 고찰 27 제1절 아동안전 및 손상의 개념 29 제2절 아동손상에 대한 선행연구 35 제3장 아동안전에 대한 국민인식 55 제1절 아동안전 국민인식 실태조사 58 제2절 아동안전에 대한 소셜 빅데이터 분석 69 제3절 시사점 98 제4장 아동손상 실태와 특성 101 제1절 개요 103 제2절 분석방법 105 제3절 결과 115 제4절 시사점 177 제5장 아동손상의 위험요인 분석 179 제1절 개요 181 제2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182 제3절 결과 190 제4절 시사점 226 제6장 아동손상의 질병부담 분석 229 제1절 개요 231 제2절 분석방법 231 제3절 결과 235 제4절 시사점 266 제7장 국내의 아동안전전략 267 제1절 개요 269 제2절 공공의 아동안전전략 270 제3절 민간기관의 아동안전전략 313 제4절 시사점 321 제8장 국외의 아동안전전략 325 제1절 세계보건기구의 아동안전전략 328 제2절 유럽아동안전연합 아동안전전략 341 제3절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아동안전전략 360 제4절 시사점 366 제9장 아동안전 전략구축 방안 369 제1절 분석결과 도출된 정책 아젠다 371 제2절 아동안전 전략구축 방안 377 참고문헌 399 부 록 405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국민건강과 안전을 위한 아동안전전략 구축방안 - 아동손상예방 전략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Healthy and Safe Korea : Focusing on Child Injury Prevention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아동안전
dc.subject.keyword손상예방
dc.subject.keyword안전사고
dc.subject.keyword교통사고
dc.subject.keyword익수
dc.subject.keyword화상
dc.subject.keyword추락
dc.subject.keyword의도적 손상
dc.subject.keyword자살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주연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5-30-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5-30-1
dc.subject.kihasa식품/의약품
dc.subject.kihasa아동복지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식품/의약품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