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취업상태 혼인이주여성의 소득 및 고숙련직종 종사여부의 결정요인: 거주지역의 민족구성 특성과 구직경로를 중심으로 = Neighborhood Ethnic Composition and Job Search Path as Determinants of Earning and High Skill Job Employment among Employed Marriage Immigrant Wives in South Korea

제목
취업상태 혼인이주여성의 소득 및 고숙련직종 종사여부의 결정요인: 거주지역의 민족구성 특성과 구직경로를 중심으로 = Neighborhood Ethnic Composition and Job Search Path as Determinants of Earning and High Skill Job Employment among Employed Marriage Immigrant Wives in South Korea
저자

이지원

키워드
혼인이주여성 ; 혼인이주여성 직업 ; 민족커뮤니티 ; 민족사회자본 ; 구직경로 ; Marriage Immigrant Wives ; Marriage Immigrant Wives" Job ; Ethnic Community ; Ethnic Social Capital ; Job Search
발행연도
2015-09-3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3호, pp.386-420
초록
이 연구는 거주지역의 같은 민족 인구비중과 같은 민족을 통한 구직활동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취업상태 국내 혼인이주여성의 직업의 임금수준과 고숙련직종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구한다. 이를 위해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로 부터 중국(한족·조선족), 베트남, 필리핀 출신 취업상태 혼인이주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전국 251개 시?군?구 지역의 각 민족 인구점유율을 계산하였다. 같은 민족을 통한 구직활동과 고숙련직종 취업여부에 대한 다층모형 로지스틱분석 및 월 평균 소득에 대한 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이 연구는 거주지역의 같은 민족 인구비중이 증가할수록 혼인이주여성이 같은 민족을 통해 취업을 도모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아울러, 전반적으로는 같은 민족을 통해 취업을 도모한 경우 다른 경로보다 더 낮은 임금수준과 고숙련직종 취업 확률을 나타냈으나, 같은 민족의 인구비중이 일정 수준을 상회하며 민족커뮤니티가 형성된 것으로 확인되는 지역의 거주자에 한해서는 같은 민족을 통한 구직활동이 더 높은 임금수준의 직업을 매개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거주지역에 이주민들의 인구수가 충분히 축적되면, 이주민들 간에 형성된 사회적 연결망이 이들의 사회적응을 도울 수 있는 주요자원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선행문헌 검토 및 연구가설 도출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맺음말
참고문헌
ISSN
1226-072X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