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제도의 보험료 부담 형평성에 관한 연구 = The Equity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ntribution in South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최재우
dc.contributor.author정재욱
dc.contributor.author김재현
dc.contributor.author김정림
dc.contributor.author박은철
dc.date.accessioned2015-10-15T08:19:48Z
dc.date.available2015-10-15T08:19:48Z
dc.date.issued2015-09-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4635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의 건강보험 재정은 통합적으로 관리·운영되고 있으나 보험료 부과체계는 이원화된 시스템으로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간 부과요소가 상이하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불형평성에 대한 문제는 제도의 개선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의 직역 간 상이한 보험료 부과체계를 단일화하기 위해서 보험료를 어떻게 부과하는 것이 더 형평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가입자의 부담능력을 근로소득, 종합소득, 총 지출로 나누어 카크와니 지수를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는 통계청에서 매년 실시하는 가계조사자료 중 2013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전체 10,046가구로 직장가입자 5,624가구, 지역가입자 4,422가구였다. 연구결과, 근로소득의 경우 소득에 비례하여 저소득층이 더 많은 보험료를 부담하고 있기 때문에 보험료 부담이 역진적임을 알 수 있다. 종합소득의 카크와니 지수는 0.002로서 현재 부과된 보험료가 부담능력인 종합소득에 거의 비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총 소비의 경우 카크와니 누진지수는 -0.018로 종합소득보다는 다소 역진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험료 부담의 수직적 형평성은 종합소득을 기준으로 했을 때 비례적인 반면에, 근로소득과 총지출을 기준으로 형평성을 파악한 결과는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역진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보험료 부과항목을 종합소득으로 단일화함으로써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직역 간 보험료 부과 형평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건강보험재정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dc.description.abstractThe Korean Health insurance system constructed nationwide single insurance system including city and fishing and agrarian villages for relative short term and financial management and operation is integrated. However, premiums charged system is the dual system which has different factors between self-employed and employees and method of calculation is different. Inequity of premium caused by this dual charged system is obstacle of system improvement. Thus, this study analyzed ability to pay by measuring earned income, aggregate income, total expenses for unifying different charged system between insured in Korea. Furthermore, we analyzes the equity in actual payment and contribution ability using the Kakwani index. We used Family Budget Survey data and extracted records from 10,046 households. Major result of the study is that earned income or total income was degressive, and aggregate income was progressive. Therefore, we concludes by suggesting a unified contribution rate system that have to be based on households’ aggregate incom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연구배경 및 목적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고찰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dc.format.extent2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제도의 보험료 부담 형평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Equity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ntribution in South Korea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보험료
dc.subject.keyword가입자 부담능력
dc.subject.keyword수직적 형평성
dc.subject.keyword카크와니 지수
dc.subject.keywordPremium
dc.subject.keywordAbility to Pay
dc.subject.keywordVertical Equity
dc.subject.keywordKakwani Index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5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199
dc.citation.endPage22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3호, pp.199-22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5 No.3, pp.199-221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