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보건복지부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able Of Contents
목 차
요 약 1
제 1장 서론 31 Ⅰ. 연구 배경 31 Ⅱ. 연구 목적 36 Ⅲ. 연구 방법 37
제 2장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과 보건소방문간호사업 현황 39 Ⅰ. 서언 39 1. 연구배경 39 2. 연구내용 및 방법 41 3. 연구의 제한점 50 Ⅱ.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과 보건소 방문간호사업 특성 51 Ⅲ.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 현황 54 1. 가정간호사업 실시 의료기관 일반 특성 54 2. 가정간호사업 구조적 특성 58 3. 가정간호사업 과정적 특성 68 4. 가정간호사업 수행실적 94 Ⅳ. 보건소 방문간호사업 현황 102 1. 보건소 방문간호사업 구조적 특성103 2. 보건소 방문간호사업 과정적 특성117 3. 보건소 위탁기관에서의 방문간호사업 현황 160 4. 보건소 방문간호사업 결과 166
제 3장 가정 방문간호사업 수요추계 172 Ⅰ. 서언 172 1. 가정 방문간호 수요추계 172 2. 가정 방문간호 수요 영역 173 3. 연구 범위 174 4. 연구 한계점 176 Ⅱ. 연구방법 179 1. 개요 179 2. 보건소 방문간호 수요추계 181 3. 의료기관 가정간호 수요추계 189 4. 가정 방문간호 수요추계 196 5. 가정 방문간호 공급추계 198 Ⅲ. 연구 결과 200 1. 보건소 방문간호 수요추계 200 2. 의료기관 가정간호 수요추계 218 3. 가정 방문간호 수요추계 225 4. 가정 방문간호 공급추계 226 5. 가정 방문간호 수요 충족도 227
제 4장 선진외국의 가정 방문간호사업 체계분석 229 Ⅰ. 서언 229 Ⅱ. 조사방법 및 기간 230 Ⅲ. 연구 내용 230 Ⅳ. 연구 결과 231 1. 일본 231 2. 미국 276 Ⅴ. 일본, 미국 가정 방문간호사업의 비교 및 시사점 305
제 5장 지역사회 가정간호사업 모형 311 Ⅰ. 서언 311 Ⅱ. 가정 방문간호 공급방안 : 지역사회 가정간호사업소 313 1. 사업운영체계 313 2. 사업 내용 317 3. 인력관리 320 4. 질관리 322 5. 시설 및 장비 324 6. 수가관리 326
제 6장 가정 방문간호사업 장 단기발전방안 328 Ⅰ. 지역 가정 방문간호사업의 연계방안328 1. 가정 방문간호사업 연계에 따른 논의 343 2. 지역 가정 방문간호서비스 연계체계 구축 348 Ⅱ. 지역사회 가정간호사업소 공급 추계352 1. 가정 방문간호사업기관간의 효율적 연계를 위한 선결과제 352 2. 중장기 발전방안 360
참 고 문 헌 365
부 록 369
Local ID
Commissioned Reports 2001-30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Health care > Health care service
Health care > Health care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