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itle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uthor(s)

송진영

Keyword
사회적 자본 ; 신뢰 ; 자원봉사활동 ; 우울 ; 가족관계만족도 ; Social Capital ; Trust ; Volunteer Work ; Depression ;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Publication Year
2015-06-30
Publisher
한국보건사회연구원
Citation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2호, pp.164-192
Abstract
본 연구는 신뢰와 자원봉사활동으로 구성된 사회적 자본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대학교에서 구축한 제7차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자료를 활용하였으며, 30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신뢰와 자원봉사활동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가족관계만족도는 신뢰와 우울 간의 영향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셋째, 가족관계만족도는 직업이 있는 대상자의 자원봉사활동과 우울 간의 영향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반면, 직업이 없는 대상자의 자원봉사활동과 우울 간에는 매개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자본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가족관계만족도의 향상을 통해 그들의 우울을 완화시킬 수 있는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ISSN
1226-072X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share

qrcode
share
Cited 8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