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노인 보건사업의 현황과 개선방안 = Current situations of health care service system for older persons and its policy issu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선우덕
dc.contributor.author이소영
dc.contributor.author김동진
dc.contributor.author김철웅
dc.contributor.author윤종률
dc.contributor.author남효정
dc.date.accessioned2015-05-22T06:55:18Z
dc.date.available2015-05-22T06:55:18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isbn978-89-6827-192-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3742
dc.description.abstract노인보건사업의 추진방향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추진하고, 일차의료기관과의 긴밀한 연계를 둔 일차케어를 중심으로 하며, 생활기능의 회복, 유지 및 향상에 두어져야 한다. 이는 노인은 살아온 터전에서 지속적으로 생활을 유지하게 하고, 높은 만성질환의 이환과 이동성의 제약으로 일차의료기관을 주로 이용하고, 노후의 생활을 장기간 자립적으로 유지하게 하는 것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그동안 정책의 사각지대로 남아져 있는 허약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 건강증진 및 검진체계를 개발하고, 자립기능의 장애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율적인 질병관리와 기능재활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이를 통해서 국민들의 건강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paper was written to suggest the efficient health care service programs for the elderly that are necessary to improve and maintain level of health of older person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Chapter II shows three types of elderly group based on ADLs and IADLs. Chapter III shows difference of determinants of health level among elderly groups that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Especially, the frail elderly group need to be provided to services for the depression control. Chapter IV shows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various service programs for the elderly, includ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health examination program, chronic disease control program, rehabilitation program. Chapter V shows policy issues to be addressed from now on. All things of analytic results considered, political suggestions can be given as follows. First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community-based care system, primary-centered continuum of care and improvement of functional independence as a basic strategy. Secondly, health care services for the frail elderly group need to be developed, and to do so, first of all the standardized screening tool needs to be developed at the government level. Thirdly, the delivery system needs to be developed to provide medical care for resident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9 제1절 연구배경 9 제2절 연구목적과 방법 11 제2장 노인 건강상태의 개념 및 집단분류17 제1절 노인 건강상태의 개념 및 변화과정 17 제2절 노인 건강상태별 집단분류 24 제3장 건강상태별 노인집단의 건강수준 및 결정요인 분석31 제1절 노인 건강상태집단별 건강수준의 현황 31 제2절 노인 건강상태집단별 건강수준의 결정요인 비교 68 제4장 노인 건강개선을 위한 현행 보건사업의 실태와 문제점89 제1절 현행 노인 건강증진사업의 실태와 문제점 89 제2절 현행 노인 건강검진 및 질병예방사업의 실태와 문제점 99 제3절 현행 노인 만성질병관리사업의 실태와 문제점 110 제4절 현행 노인 기능 재활사업의 실태와 문제점 144 제5장 노인보건사업의 추진방향과 개선방안153 제1절 추진방향 153 제2절 각 부문별 개선내용 156 제6장 정책건의 및 결론 173 참고문헌177 부록181 부록 1. 허약노인 선별 및 보건의료욕구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표 181 부록 2. 허약노인 선정도구에 의한 분석결과표 185 부록 3.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의 내용 189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노인 보건사업의 현황과 개선방안
dc.title.alternativeCurrent situations of health care service system for older persons and its policy issue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건강상태집단
dc.subject.keyword허약노인
dc.subject.keyword노인만성질환관리
dc.subject.keyword지역기반체계
dc.subject.keyword일차의료중심의 연계
dc.subject.keyword건강기능자립지원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동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선우덕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소영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4-22-9-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4-22-9-1
dc.subject.kihasa건강증진
dc.subject.kihasa보건의료 서비스
dc.subject.kihasa노인복지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보건의료 서비스
보건의료 > 건강증진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5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