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결혼이민자 및 그 자녀의 인구자질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Population Quality for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조성호
dc.contributor.author변수정
dc.contributor.author이소영
dc.contributor.author박종서
dc.contributor.author서희정
dc.contributor.author유재언
dc.date.accessioned2015-05-22T04:41:34Z
dc.date.available2015-05-22T04:41:34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isbn978-89-6827-179-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3729
dc.description.abstract한국사회에서 결혼이민자들이 안정된 적응을 이루고 그들이 가진 재능이나 능력을 발휘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자리잡아가는 것이 한국사회에, 그리고 결혼이민자 자신 및 그 자녀에게도 중요하다는 배경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분석결과,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능력은 자신의 취업여부 및 소득, 그리고 자녀의 한국어 능력에 이르기까지 다른 어떤 요인들보다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언어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결혼이민자 및 자녀의 특성과 인구자질 사이의 관계가 결혼이민자의 출신국에 따라 상이한 패턴을 보여, 획일화 된 서비스나 정책보다는 출신국가별 특성들을 잘 파악해 특성화되고 맞추어진 서비스 및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한국사회는 점점 다양한 민족이 살아가는 터전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 결혼이민자들과 그 자녀, 나아가 다문화가족들이 차별받지 않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사회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s population quality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Employment status(employed vs unemployed), income(for those who are employed) and life satisfaction(for those who are unemployed) are used to examines population quality of marriage migrant women, whereas language skills and psychological health are used to investigate population quality for children of marriage migrant women. The results show that associations between factors related to marriage migrant women and employment status were different by marriage migrant women's county of origin. These results reflect that tailored services and policies consider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country of origin should be emphasized and be provided to effectively use marriage migrant women's human capital. Korean language skills of marriage migrant women have effects on population quality of not only marriage migrant women but also their children. In addition, relations between marriage migrant women's Korean language skills and population quality both those women and their children vary by women's country of origin. Thus, instead of standard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ically tailo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age migrant women should be emphasized. In addition,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of marriage migrant women should be continuously discussed and be supported to develop environments promoting linguistic superiority by using advantaged environm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which have diverse cultural and language backgrounds. Moreover, because of their language skills or skin colors children of marriage migrant women could be more vulnerable than those in non-multicultural families. Therefore, discourse on preventative measures against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violence should be continu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16 제2장 인구자질의 개념 및 연구 방법 19 제1절 인구자질의 개념 21 제2절 연구 방법 30 제3장 결혼이민자 및 그 자녀의 추이 및 인구자질의 기본특성 47 제1절 결혼이민자 및 그 자녀의 추이 49 제2절 결혼이민자 및 그 자녀 인구자질의 기본특성 62 제3절 소결 68 제4장 결혼이민자의 인구자질(1): 노동시장성과(취업과 소득) 71 제1절 이론적 배경 73 제2절 결혼이민자의 취업과 소득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78 제3절 결혼이민자의 취업과 소득에 대한 회귀분석 86 제5장 결혼이민자의 인구자질(2): 생활만족도 101 제1절 이론적 배경 103 제2절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105 제3절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의 결정요인 108 제6장 결혼이민자 자녀의 인구자질(1): 언어 능력 115 제1절 이론적 배경 117 제2절 결혼이민자 자녀의 언어 능력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120 제3절 결혼이민자 자녀의 언어 능력의 결정요인 128 제7장 결혼이민자 자녀의 인구자질(2): 정신 건강 141 제1절 이론적 배경 143 제2절 결혼이민자 자녀의 정신 건강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145 제3절 결혼이민자 자녀의 정신 건강의 결정요인 149 제8장 결론 159 제1절 요약 161 제2절 정책적 제안 166 참고문헌 173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결혼이민자 및 그 자녀의 인구자질에 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Population Quality for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결혼이민자
dc.subject.keyword결혼인구자 자녀
dc.subject.keyword인구자질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조성호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종서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변수정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소영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유재언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4-22-4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4-22-4
dc.subject.kihasa인구변화
dc.subject.kihasa가족변화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