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가족의 갈등과 대응방안 연구: 가족관계 갈등과 가족기능 갈등을 중심으로 = Family Conflicts and Policy Responses-Relational Conflicts and Functional Conflicts

제목
가족의 갈등과 대응방안 연구: 가족관계 갈등과 가족기능 갈등을 중심으로 = Family Conflicts and Policy Responses-Relational Conflicts and Functional Conflicts
저자

김유경 ; 이진숙 ; 이재림 ; 김가희

키워드
가족갈등 ; 가족관계갈등 ; 가족기능갈등
발행연도
2014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우리사회는 가족구조의 급속한 변화와 함께 가족기능의 공백, 개인주의 팽배, 전통적 성역할 혼재, 그리고 세대 간 소통단절 등으로 부부 및 세대 간에 가족갈등의 싱화가 예상된다. 가족갈등은 가족해체로 이어지며 이는 사회적 비용부담을 발생하므로 가족해체 예방을 위해 가족가치 확산 및 가족위기 해결을 위한 정책적 대응마련이 필요하다.
이 과제의 목적은 급속한 산업화 및 후기사회로의 이행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족갈등에 대비하여 가족관계 및 가족기능별 갈등양상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정책적 대응방안을 도출하여, 효과적인 국가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Korean society, gaps in family functions such as family support and caregiving have been highlighted by rapid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dynamics and family structure, a weakening of family values, and an increase in dual-earner households. In addition, the rise of individualism, mixture of traditional gender roles, and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gap are expected to worsen marital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s an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family disorganization. Thus, family conflicts according to social changes lead to family disorganization and cause heavy burden of social cos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pread family values and to take political measures for the solution of family crisis as a preventive measure against family disorganiz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national political agenda 'To Build Healthy Families’ in order to develop policies for solving parent-adolescent and marital conflicts and enhancing family bond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policies for building healthy families by diagnosing conflict types and problems by family relation and function and deriving political countermeasures in preparation for family conflicts in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transition process to post-industrialized society.
The political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olve family conflicts, it is necessary to extend life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family conflicts, to create a family-friendly and gender equal social environment, to increase Health Family Support Center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plans to solve marital, intergenerational, and sibling conflicts were discussed. Second, in order to solve conflicts by family functions, this study proposed detailed tasks with a focus on considering the connection between family functions and family conflicts and solving parent-adult child support and inheritance conflicts and workfamily conflicts.
목차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5

제2장 이론적 배경 23
제1절 가족갈등의 개념 및 유형 23
제2절 가족갈등 관련 이론 30
제3절 가족갈등의 대응: 결과 및 영향 37
제4절 가족갈등 관련 연구동향 분석 39

제3장 가족갈등의 원인 진단 55
제1절 개인 수준 원인 진단 58
제2절 가족 수준 원인 진단 65
제3절 사회 수준 원인 진단 82
제4절 시사점 99

제4장 가족갈등 양상 및 대응욕구 103
제1절 분석대상 특성 103
제2절 전반적 가족갈등 양상 111
제3절 가족관계별 갈등양상 129
제4절 가족기능별 갈등양상 176
제5절 가족갈등 유형별 대응욕구 216
제6절 시사점 223

제5장 국내․외 가족갈등 정책사례 229
제1절 가족갈등 관련 정책분석 틀 229
제2절 가족갈등 관련 국내 법 및 정책의 현황 236
제3절 국외의 가족갈등 관련 정책 277
제4절 국내외 정책의 시사점 298

제6장 가족갈등의 대응방안 309
제1절 가족갈등 해소를 위한 정책방향 309
제2절 가족관계별 갈등해소를 위한 대응방안 310
제3절 가족기능별 갈등해소를 위한 대응방안 323

참고문헌 331

부록 353
부록 1. 가족내 세대갈등 및 돌봄, 상속갈등 실태조사 353
부록 2. 부부 및 형제자매 갈등 실태조사 354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4-14
ISBN
978-89-6827-164-9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