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년에는 기존 중앙행정기관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보장통계 추가하여 수집·정리 -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4」를 발간하여 사회보장 주요지표 정의, 측정산식을 제시하고, 각종 통계정보를 통해 관련 정보 제시 - 분야별 유사통계, 신규 필요통계 등을 제안하여, 전문위원회 논의를 거쳐 사회보장위원회 심의 안건으로 상정 - 「2014년도 사회보장통계 생산관리 방안 연구」를 발간하여 2014년도 사회보장통계 생산 및 관리 구축 시의 쟁점진단 및 제언을 목적으로 한 연구 진행 - 신규 사회보장통계의 발굴을 통해 체계화 및 고도화 추진 - 사회보장통계 DB 구조(안)에 따른 통계분류화 - 2014년도에 작성한 사회보장통계의 사회보장위원회 제출(보고)를 위한 업무지원
Table Of Contents
요약 1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5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8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19
제2장 사회보장통계 생산 및 관리 현황 21 제1절 사회보장통계 관련 규정 및 운용 현황 23 제2절 사회보장통계 생산 및 관리 현황 37 제3절 지역 사회보장통계 현황 59
제3장 사회보장통계 성과와 한계 67 제1절 사회보장통계 관리·운용의 성과 69 제2절 사회보장통계의 한계 82
제4장 사회보장통계 생산·관리의 발전방안 91 제1절 사회보장통계 생산을 위한 정책적 제언 93 제2절 사회보장통계 관리를 위한 정책적 제언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