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contributor.author | 황나미 |
dc.contributor.author | 김기수 |
dc.contributor.author | 신손문 |
dc.contributor.author | 피수영 |
dc.contributor.author | 김기숙 |
dc.date.accessioned | 2010-11-09T02:24:37Z |
dc.date.available | 2010-11-09T02:24:37Z |
dc.date.issued | 2000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335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 차
요 약 11
Ⅰ. 서 론 21
1. 연구배경 21
2. 연구목적 25
3. 연구내용 및 방법 26
Ⅱ. 국내외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지원현황 38
1.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질환에 대한 의료비 지원실태 38
2. 일본의 미숙아 등록관리체계 및 의료지원 현황 50
Ⅲ. 미숙아 의료이용 양상 및 의료비 발생실태 60
1. 미숙아 및 저출생 체중아 의료이용 추이 60
2. 종합병원에서의 미숙아 의료이용 양상 및 의료비 발생실태 61
Ⅳ. 선천성 이상아 의료이용 양상 및 의료비 발생현황 75
1. 선천성 이상아 의료이용 추이 75
2.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발생 현황 76
3. 고위험 선천성 이상아의 저출생 체중 발생실태 81
Ⅴ.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의 집중치료시설 현황 84
1. 신생아 집중치료시설 운영 현황 84
2. 우리 나라 신생아 집중치료 현실 91
Ⅵ.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등록관리 및 의료지원 방안 93
1.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등록 및 관리 방안 93
2.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방안 98
Ⅶ. 결론 및 제언 116
1. 미숙아 등록률 제고를 위한 의료비 지원대상 확대 117
2. 의료기관에서 '미숙아 등의 출생보고'를 제고하기 위한 관련 서식의 개선118
3.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원 119
참고문헌 130
부 록 135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등록체계 확립 및 의료지원방안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황나미 |
dc.type.other | 용역보고서 |
dc.identifier.localId | 용역보고서 2000-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