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김미곤 |
dc.date.accessioned | 2015-03-06 |
dc.date.available | 2015-03-06 |
dc.date.issued | 2015-03-02 |
dc.identifier.issn | 2092-7177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3348 |
dc.identifier.uri | http://dx.doi.org/10.23064/2015.03.274 |
dc.description.abstract | - 삶의 질에 대한 국제비교 결과 우리나라의 객관적인 삶의 질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주관적 삶의 질 수준은 낮게 나타나고 있음. - 가구유형별 행복수준은 장애인이 있는 가구, 노인이 있는 가구, 만성질환자가 있는 가구, 실업자 및 금융채무 불이행자가 있는 가구는 낮게 나타나고, 아동이 있는 가구는 높게 나타나고 있음. - 개인특성별 행복수준을 살펴보면, 연령이 높아질수록 행복수준이 낮아지는 추세이며, 남성이 여성보다, 그리고 가구주가 비가구주보다 행복수준이 낮게 나타나고 있음 경제활동별 행복수준은 상용직 〉 고용주 및 자영자 = 비경제활동인구 〉 임시일용직 〉 실업자 순으로 나타나고 있음. - 직종별 행복수준은 관리 전문직 〉 사무서비스직 〉 숙련 기술직 〉 비경활 및 실업자 〉 단순노무직으로 나타나고 있음. 그리고 정규직 여부에서는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높은 행복수준을 보이고 있음. - 이러한 조사결과는 노인․ 장애인이 있는 가구, 만성질환자가 있는 가구, 임시일용직, 실업자, 단순노무직, 비정규직 등에 사회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함.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행복의 개념 2. 행복수준 국제비교 3. 한국인의 개인특성별 주관적 행복수준 4. 한국인의 가구특성별 주관적 행복수준 5. 정책적 시사점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extent | 8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title | 한국인의 가구유형별 개인특성별 주관적 행복수준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행복 |
dc.subject.keyword | 가구유형 |
dc.subject.keyword | 개인특성 |
dc.subject.keyword | 삶의질 |
dc.subject.keyword | 행복수준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김미곤 |
dc.identifier.doi | 10.23064/2015.03.274 |
dc.citation.title | 보건복지 Issue & Focus |
dc.citation.title | Health Welfare Issue & Focus |
dc.citation.volume | 274 |
dc.citation.startPage | 1 |
dc.citation.endPage | 8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복지 Issue & Focus 274호, pp.1-8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Welfare Issue & Focus No.274, pp.1-8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