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시설거주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인요양시설 외부 관계자원을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f Social Network Type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Focusing on External Relationship Resources of Nursing Facilities

제목
시설거주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인요양시설 외부 관계자원을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f Social Network Type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Focusing on External Relationship Resources of Nursing Facilities
저자

강은나 ; 이민홍

키워드
시설거주노인 ; 노인요양시설 ; 사회적 네트워크 ; 잠재집단분석 ; Older Residents ; Nursing Home ; Social Network Type ; Latent Class Analysis Mental Health Factor ; Structural Equation Model Multi-Group Analysis
발행연도
2014-06-3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2호, pp.133-160
초록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어떠한 형태로 유형화되는지 규명하고, 각 유형의 특징을 탐색적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사회적 네트워크는 주로 노인요양시설 외부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연구 대상은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중 인지건강 수준이 중증으로 설문에 응답하기 어려운 노인과 요양시설에 입소한지 6개월 미만인 노인은 제외하였으며, 시설거주노인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포함되었다. 시설거주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을 사용하였으며, 잠재집단을 통해 도출된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별 특성은 X 분석, t-test, ANOVA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시설거주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는 자녀의존형(68.3%), 고립형(13.9%), 제한적 다연결형(17.8%) 등의 세 개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자녀의존형은 자녀수와 자녀연락 빈도수는 평균 이상이지만, 종교참여나 친구와의 교류는 거의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고립형은 자녀, 친구, 친척과의 연락도 거의 없고, 종교행사참여도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제한적 다연결형은 자녀, 친척, 친구 등과의 연락이 유지되고, 종교행사참여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시설거주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건강특성 등은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에 관계없이 매우 동질적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설거주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에 관한 학문적 및 실천적 함의와 후속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노년기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화 연구
Ⅲ. 연구방법
Ⅳ. 결과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ISSN
1226-072X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