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오영호 |
dc.contributor.author | 이난희 |
dc.contributor.author | 진재현 |
dc.contributor.author | 오혜인 |
dc.contributor.author | 진경인 |
dc.contributor.author | 김명선 |
dc.contributor.author | 안혁근 |
dc.contributor.author | 김진현 |
dc.contributor.author | 지영건 |
dc.contributor.author | 정승은 |
dc.date.accessioned | 2014-04-03T06:59:41Z |
dc.date.available | 2014-04-03T06:59:41Z |
dc.date.issued | 2013 |
dc.identifier.isbn | 978-89-6827-062-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1369 |
dc.description.abstract | 사회비영리조직(Non-Profit Organization)은 기업 및 정부와 달리 독립된 제3의제도부문(the third sector)으로서 정부 및 기업과 보완·대체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제3부문 조직들은 매우 다양한 유형과 특성을 갖고 있는데, 이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그리고 그 나라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대두되는 비영리부문의 서비스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시대와 문화 및 사회에 따라 다양하게 요구되는 제3부문의 조직들이 해당서비스 제공에 있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지, 해당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해 그동안 끊임없이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비영리조직이 담당하고 있는 노인요양서비스 등 일부 사회서비스의 고부가가치성 인정과 노동시장확대의 가능성 등 시장화, 산업화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는 비영리조직에 대한 역할과 기능에 대한 전반적인 재고찰이 요구되는 시점임을 반영하고 있다. 이 과제의 목적은 일반국민과 비영리법인의 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비영리법인의 역할과 기능을 책무성의 관점에서 평가하였고, 또한 비영리법인의 직원을 대상으로 질적인 조사(qualitative survey)를 통하여 비영리법인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책무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in its third year, is aimed at suggesting a plan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capacity of nonprofit corporations. To this end, a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measure nonprofit corporations’ accountability with the public and public officials along with a qualitative research asking managers of nonprofit organizations to evaluate the corporations’ accountability based on their experience with their roles in such corporations. The qualitative research identified seven inter-related patterns of nonprofit corporations’ accountability that include “legal basis”, “representative expert activities”, “democratic management”, “efficient resource utilization”, “indiscrimination”, “transparency”, and “external relationship”. A nonprofit organization must be established and maintained by law. The core pattern of accountability is representative expert activities, and for this pattern of accountability to realize, democratic management is required, resources should be efficiently used, and no discrimination should be allowed among corporation staffs. In addition, transparent management and good external relationship help improve nonprofit corporations’ accountability. The overall score of the nonprofit corporation’s accountability with the public, public officials, and the corporations’ staff was in the mid-three point range. This means that Korea’s nonprofit corporations have not properly fulfilled its role and functions in terms of accountability. To meet social needs that have become ever more diversified and complicated, the need is voiced for the nonprofit corporation to expand its role and reinvigorate its activities. This requires the nonprofit corporation’s management system to be reexamined to find out if it can live up to such expectations. The policy implications of our research findings are that it is necessary to verify whether the nonprofit corporation pursues public interest,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objectivity of such a process, it should be done by specialized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Also, such verification should not be confined to some document reviews but require broad access to practical information to secure validity. Given the increasing role of the nonprofit corporation, it is high time to study a more innovative and transparent role of such corporations and to consider the need to improve its accountability by providing new mission and vision for it through working-level discussion on how to improve its service to public interest. It is also recommended to establish a relevant information system.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35 제1절 연구의 필요성 37 제2절 연구의 목적 44 제3절 연구 범위 및 대상 44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51 제1절 비영리기관의 의의 및 유형 53 제2절 비영리법인의 책무성 68 제3절 선행연구 74 제3장 연구방법 95 제1절 연구자료 97 제2절 책무성 모델 및 연구변수 100 제3절 추정방법 105 제4장 조사대상별 책무성인식 차이분석 137 제1절 일반국민의 책무성인식 차이분석 139 제2절 담당 공무원의 책무성인식 차이분석 166 제3절 비영리법인 직원의 책무성인식 차이분석 198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246 제5장 비영리법인 책무성 우선순위 분석 249 제1절 비영리법인의 책무성 우선순위 251 제2절 비영리법인의 책무성에 대한 유형별 특성 분석 278 제3절 조사대상자간 비영리법인의 책무성 우선순위 비교분석 311 제6장 비영리법인의 책무성 지수분석 375 제1절 조사대상기관의 일반특성 377 제2절 비영리법인의 책무성 지수분석 397 제3절 비영리법인의 책무성 지수 종합분석 420 제4절 소결 433 제7장 비영리법인의 질적조사 분석 443 제1절 조사대상자 일반특성 445 제2절 비영리법인의 책무성: 패턴화된 측면 447 제3절 비영리법인의 책무성: 맥락적 측면 499 제4절 소결 515 제8장 외국사례 고찰 및 시사점 519 제1절 내부적 책무성 제고 사례 521 제2절 외부적 책무성 제고 사례 524 제3절 시사점 527 제9장 요약 및 정책방향 531 제1절 요약 533 제2절 정책방향 535 제3절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545 참고문헌 549 부 록 593 부록 1. 비영리법인 질적조사(Qualitative Survey) 설문지 593 부록 2. 양적조사(Quantitative Survey) 설문지 597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비영리법인 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3년차) |
dc.title.alternative | On Improving the Institution of the Nonprofit Corporation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비영리법인 |
dc.subject.keyword | 책무성 |
dc.subject.keyword | 질적 연구 |
dc.subject.keyword | 우선순위선정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오영호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이난희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진재현 |
dc.type.other | 협동연구 |
dc.identifier.localId | 협동연구 2013-01 |
dc.subject.kihasa | 보건의료 자원 |
dc.subject.kihasa | 사회서비스 일반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