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혼인동향과 혼인이행 분석 = Marriage Trends and Marriage Transition in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상림
dc.date.accessioned2014-01-14T02:38:37Z
dc.date.available2014-01-14T02:38:37Z
dc.date.issued2013-12-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1008
dc.description.abstract혼인은 한국의 저출산 현상을 설명하는 핵심적 요인이지만, 지금까지 이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와 혼인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 개발은 더디게 이루어져 왔다. 이 연구는 최근의 다양한 혼인동향의 변화와, 개인적 차원에서 혼인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들을 분석한다. 혼인동향에 관한 인구학적 분석은 전반적인 혼인력의 약화와 함께, 혼인연령 규범의 빠른 약화 현상을 보여준다. 이는 혼인이행률의 반등이 없을 경우 국내 출산율이 극도로 낮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혼인이행 차별성 분석 결과에서는 경제적 자원 효과가 성별 및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고연령 여성들에게서는 학력, 직업 등과 같은 자신의 자원효과는 약화된 반면, 부모의 자원 효과는 높아졌다. 또한 긴 근로시간은 혼인이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고연령 남성에게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부모로부터의 독립은 고연령 남성을 제외한 모든 집단의 혼인이행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시간과 독립거주의 영향은 잠재적 파트너를 만날 기회를 높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의 혼인시장의 특성을 보여주고, 혼인지원 정책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dc.description.abstractMarriag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explain the lowest low fertility in Korea where illegitimate births account for only 2% of total births. Nevertheless, marriage, particularly marriage transition from never married to married has been rarely studied in Kore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marriage trends and marriage transition patterns in Korea. For the purposes, this study conducts various demographic analyses on current marriage patterns at population level and statistical analyses on marriage transition at individual level utilizing data from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between 2001 and 2008. The results of demographic analyses show the postponed marriages trends and the weakening social norm for marriage age particularly among single females, and the individual analyses reveal economic resource effects different by age and gender, and positive influence of parents’ resource.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probability of first marriage is likely to be decreased by long working hours and increased by residential independence from parent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necessity of marriage support policy to encourage marriages at younger ages and outlines future research agend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우리사회의 혼인 변화추이 분석 Ⅲ. 개인단위 혼인이행에 대한 통계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dc.format.extent3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혼인동향과 혼인이행 분석
dc.title.alternativeMarriage Trends and Marriage Transition in Korea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혼인이행
dc.subject.keyword자원효과
dc.subject.keyword근로시간
dc.subject.keyword혼인 연령규범
dc.subject.keyword혼인시장
dc.subject.keywordMarriage Transition
dc.subject.keywordEconomic Resource Effect
dc.subject.keywordWorking Hours
dc.subject.keywordNorm for Marriage Age
dc.subject.keywordMarriage Market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상림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3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39
dc.citation.endPage7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4호, pp.39-7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3 No.4, pp.39-71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5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