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인의 사회참여가 주관적 건강 및 건강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다양한 사회참여의 영향을 중심으로 = Effect of Social Engagement on Self-rated Health Trajectory among Korean Older Adults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민주홍 |
dc.date.accessioned | 2014-01-14T02:35:21Z |
dc.date.available | 2014-01-14T02:35:21Z |
dc.date.issued | 2013-12-01 |
dc.identifier.issn | 1226-072X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1006 |
dc.description.abstract |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늘어난 노년기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활동적 노년, 그리고 성공적 노화와 같은 담론을 중심으로 노년기 활발한 사회참여가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주목되어 왔다. 그러나 사회참여와 건강은 상호간에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원인이자 결과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형태의 사회참여와 주관적 건강과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 2006, 2008, 2010의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를 이용, 60세 이상인 참여자를 대상으로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회참여와 주관적 건강의 초기값과의 상관은 사회참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주요 사회인구학적 특성의 영향을 통제한 경우, 직업참여를 제외한 다른 종류의 사회참여가 6년간의 주관적 건강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비록 짧은 기간의 변화이긴 하나, 노인의 다양한 종류의 사회참여가 주관적 건강의 향상과 유의한 관련이 없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사회참여가 노인의 주관적건강의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선 가정하기 보다는, 노인이 처한 다양한 사회경제적 맥락과, 사회참여의 다양성을 고려한 사회참여 관련 정책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
dc.description.abstract | Social engagement has been known to be associated with better health outcomes.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examined the association using cross-sectional data; thus the causal relationship is unclea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ocial engagement predicted change in self-rated health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older adults. Using three waves of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growth curve modeling was performed to examine change of self-rated health over time among 4,250 older adults age 60 and older. Older adults reported significant decrease of self-rated health within 6 years. The study foun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health and social engagement, but social engagement did not predict change in self-rated health. Results suggest good health status is important for social engagement but social engagement is not necessarily a leading factor to maintain better health outcom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
dc.format.extent | 19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title | 한국 노인의 사회참여가 주관적 건강 및 건강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다양한 사회참여의 영향을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 | Effect of Social Engagement on Self-rated Health Trajectory among Korean Older Adults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사회참여 |
dc.subject.keyword | 주관적 건강 |
dc.subject.keyword | 잠재성장모형 |
dc.subject.keyword | KLoSA |
dc.subject.keyword | Social Engagement |
dc.subject.keyword | Self-rated Health |
dc.subject.keyword | Growth Curve Modeling |
dc.subject.keyword | KLoSA |
dc.citation.title | 보건사회연구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
dc.citation.volume | 33 |
dc.citation.number | 4 |
dc.citation.startPage | 105 |
dc.citation.endPage | 123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4호, pp.105-123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3 No.4, pp.105-123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